보훈의 달인 6월에 국가보훈처가 창설 62주년을 맞이해 국가보훈부로 재출범했다. 1961년 7월 국가원호청으로 출범해 국가보훈업무를 주간한 정부 부처로 여러 차례 기구 개편을 거치는 등 부침이 심했던 보훈처가 지난 2월 개정된 정부조직법에 따라 보훈부로 승격했다.
나라를 지킨 호국 영령들이 흘린 피와 땀방울 위에 국가 건설을 이룩 할 수 있었다. 호국 업무는 그동안 많은 개념 변화를 가져왔다. 보훈대상도 참전 용사를 주요 대상으로 하는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독립호국 민주 등 한국 근대사의 흐름에 기여한 인사를 포용하고 있다.
신록이 짙어가는 6월은 순국 선열과 호국영령을 위해 묵념,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하는 분들에 대한 존경과 애정이 짙어지는 때이기도 하다. 68회 현충일을 맞이해 단순히 애국선열들에 대한 추모행사를 하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된다. 더욱 헌신적인 호국 정책을 발굴해 일반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보훈문화 정책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보훈은 한 나라의 국격이고 본질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5일 보훈부 출범에 맞춰 서울 현충원을 보훈부로 이관하는 방침을 확정했다. 보훈부 출범에 따른 국가 보훈 정책 변화를 담은 제5차 국가보훈 발전 기본 계획과 국립현충원 이관 및 재창조 프로젝트를 심의 의결했다. 국가 보훈 발전 기본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는 범 정부 차원의 보훈정책이다.
이번에는 ‘국민이 하나되는 보훈,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비전’으로 국가 품격을 높이는 보훈문화,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 보훈체계, 세계와 연대하는 보훈을 3대 외교 전략으로 선정했다. 국가 유공자법 제1조는 국가 유공자와 그 유족 또는 가족을 합당하게 예우하고 지원함으로써 이들의 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을 도모하고 국민의 애국 정신을 기르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했다. 국가 유공자를 존경하는 사회 분위기를 만드는 것도 우리 모두가 해야 할 일이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