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이어 정부도 나서는데…인구 최다 경기도 은둔 청년 현황 몰라

은둔형 외톨이. 연합뉴스

고립·은둔 청년 발굴, 지원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지만 전국에서 청년 인구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지역 내 고립·은둔 청년 규모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대비 인구가 400만여명 적은 서울시가 이미 1년여 앞서 실태 조사에 나서 결과물을 발표하고 정부도 이달 조사에 착수하기로 한 것과 대비되는데, 도는 근거 조례 제정조차 난항을 겪는 실정이다.

 

13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보건복지부는 이르면 이달 하순께 조사를 실시, 연말 결과를 발표하고 온·오프라인 도움 창구, 사후관리 등으로 구성된 통합서비스 시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조사 결과) 고립·은둔 청년이 집중된 곳 등 지원이 시급한 지역에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월 서울시가 발표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결과와 정부의 인구 관련 통계를 종합하면 도는 이번 복지부 조사에서 가장 많은 고립·은둔 청년 규모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서울시는 지난해 5~12월 전국 지자체 최초로 자체 조사를 실시, 올 1월 결과보고서에서 지역 내 만 19~39세 청년 중 고립·은둔 청년 비율이 4.5%라고 추정했다.

 

또 이를 서울시, 전국 청년 인구 수에 대입하면 시에 약 12만9천명, 전국에 61만명의 고립·은둔 청년이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기준 도내 해당 연령 인구는 서울시 289만1천9명보다 28.8% 많은 372만3천797명. 단순 계산 시 지원이 필요한 고립·은둔 청년이 서울시보다 도에 더 많은 셈이다.

 

상황이 이렇지만 도는 근거 조례, 예산 미비를 이유로 지금껏 이렇다 할 고립·은둔 청년 규모 파악을 진행하지 않은 상태다.

 

도 관계자는 “현재 도의회에서 고립 청년 실태 조사, 지원 사업 근거가 담긴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며 “제정될 조례와 이번 정부 조사를 토대로 내년에 자체 예산을 수립, 실태조사와 지원 사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난 1일 유호준 도의원(더불어민주당·남양주6)이 대표발의한 ‘경기도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 조례안’은 지난 2020년 고립 청년 실태 조사 근거가 포함된 상태로 제정된 ‘경기도 고독사 예방 및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 조례’와 충돌, 상정이 요원한 상태다.

 

도의회 관계자는 “기존 유사 조례, 사업 간 충돌이 있어 (새 조례안은) 추가 논의 및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