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의회가 시 조직개편안 처리을 유보하면서 민선8기 고양시정의 발목을 잡고 있다.
시의 조직개편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보다는 집행부와 시의회 민주당 간 감정싸움으로 양 기관의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다.
23일 고양특례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가 제출한 '고양시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일부 개정조례안' 등 조직개편 관련 조례안을 지난 7~10일까지 제271회 임시회 본회의에 상정했다.
시는 우선 조직개편안을 회기에 의결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소관 상임위원회인 기획행정위원가 부결시켰다. 고양시의 조직개편안 심의는 다음 회기인 3월8일 이후로 미뤄질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이동환 시장 취임 이후 의욕적으로 준비해 온 민선8기 시정 계획과 경제자유구역 지정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런 가운데 지난 22일 4급 1명과 23일 5급과 6급 승진·전보인사를 단행했지만 조직개편이 이뤄지지 않아 승진예정자들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고양시공무원노조는 성명서를 통해 “시민을 위해 일하라고 뽑았더니 시의회는 민생은 뒷전인 채 정작 제 밥그릇만 챙기기에 급급해서 해외여행 갈 계획만 하고 있다”며 “시민에게는 고통 전가이고 체면이 없고 양심이 없는 처사”라고 규탄했다.
이어 “이동환 고양시장도 의회와 대승적 협치를 통해 대의적인 정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고양시도 시의회를 상대로 조직개편안에 대해 적극 설명하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또 조직개편안이 길어지면서 시와 의회 관계 등과 논의할 '컨트롤타워'가 없는 것도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고양시 노조와 한 공무원은 “조직개편이 늦어지면 인사를 비롯해 모든 행정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해진다”며 “집행부와 의회가 머리를 맞대고 상생의 방안을 하루빨리 찾아야 한다”며 “3월 임시회에는 민생예산과 업무추진비 예산을 정상화하고, 조직개편안을 즉각 처리하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한편 시 조직개편안은 자족도시실현국, 교통국을 신설, 경제자유구역 지정, 교통인프라 확대를 골자로 2실 8국 4직속기관 4사업소 1보좌기관 150과로 구성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