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도 안 팔리는데…" 유망 공공택지 줄줄이 '미분양'

해당 기사와 관련 없는 참고 사진. 경기일보DB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는 금싸라기 땅의 인기가 예전만 못하다.

 

남양주 진접2 용지, 군포 대야미 용지 등 건설사 입장에서 ‘눈독’ 들이기 쉬운 택지들이 번번이 미분양 되고 있어서다.

 

이는 금리 인상·집값 하락 등 영향으로 부동산 거래가 얼어붙은 영향이 크다.

 

쉽게 말해 ‘아파트도 안 팔리는데 땅은 사서 뭐하느냐’는 분위기다.

 

해당 기사와 관련 없는 참고 사진. 경기일보DB

 

20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LH가 지난해 12월 입찰 공고를 내고 분양에 들어간 공동주택용지는 총 8개 필지다. 현재 이 중 2개 필지(인천 검단, 경북 칠곡 북삼지구 아파트 용지)만이 매각이 완료됐다.

 

남양주 진접2 주상복합용지 2개 필지, 군포 대야미 주상복합용지, 구리 갈매역세권 및 김포 한강신도시 아파트 용지 등 수도권 유망 택지를 포함한 6개 필지는 신청자가 없어 유찰됐다. 전체의 75%가 안 팔렸다는 의미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분양가 상한제 시행 등으로 민간택지의 경쟁력이 사라지면서 공공택지의 인기가 높았다. 실제로 작년 LH의 미매각 공동주택용지는 총 32개 필지, 1조7천억원 규모로 최근 5년 내 최저 수준이기도 했다.

 

하지만 11월 이후로는 미매각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변했다. 집값이 떨어지고 분양성이 악화하면서 건설사들이 택지 매입을 꺼리는 것이다. 이 무렵 매각 공고된 17개 공동주택용지 중에서도 화성 동탄신도시, 부천 원종·평택 소사벌 등 6개 필지가 아직 주인을 찾지 못했다.

 

전국적으로 지난해 말 기준 미분양 물량은 총 6만8천호다. 국토교통부는 사실상 6만2천호(20년 장기 평균)가 넘어서면 ‘위험 수준’으로 보고 있는데, 이미 이 수준을 넘어선 것이다. 여기에 올해 2월까지 발생한 미계약분을 고려하면 7~8만호, 연말이 되면 10만호까지도 넘어설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도 나온다.

 

윤석열 정부의 공공분양주택 '뉴:홈' 사전청약 접수가 시작된 지난 6일 고양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고양사업본부 홍보관 내부 모습. 연합뉴스

 

이처럼 공동주택용지 미분양이 늘자 국토교통부와 LH에는 비상이 걸렸다.

 

특히 정부는 수도권 공공택지와 3기 신도시 조성을 통해 공급 확대 및 집값 안정을 꾀하겠다는 방침이었는데, 이들의 근본이 되는 ‘땅’이 안 팔리면 정책 목표가 흔들릴 수 있어서다.

 

LH는 올해 3월부터 공동주택용지 약 60개 필지(잠정)를 공급할 계획인 만큼, 최근 미분양 상황과 관련해 건설업계의 애로사항을 신속히 청취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은 지난 10일 건설회관에서 주택 건설사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개최, 이 자리에서 참여 건설사들은 ▲토지리턴제 도입 ▲택지 전매제한 완화 ▲공공택지 대금 납입조건 완화 등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LH는 현재 추첨방식 공동주택 용지 분양시 적용하는 ‘적격성 평가지표’를 개선해 분양 참여 업체 수를 늘리는 방안을 국토부와 협의중인 모양새다.

 

또 건설사의 미분양 증가와 PF 시장 경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사를 지원하기 위해 공동주택용지 전매제한을 완화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