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내년 중 지역발전을 위한 시민 알권리 충족 및 쌍방향 소통을 강조하면서 정작 시정 소통·홍보에 대해 우선순위를 지역 지방이 아닌 중앙에 맞춰 논란을 빚고 있다.
또 최근 말썽을 빚고 있는 민원상담관제 운영과 관련, 뚜렷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지 않은 채 찾아가는 민원행정 등 원론적 입장에 그쳐 내년에도 시의회의 사업비 반영이 녹록찮다.
이는 22일 구리시가 내년 사업 관련, 시의회 제319회 2차 정례회에 참석해 실·국별 업무보고를 하는 과정에서 제기됐다.
엄정규 행복소통담당관은 내년 업무보고를 통해 “언론매체를 활용한 민선8기 역점사업을 홍보하는데 주력하겠다”면서 “홍보방안으로 중앙지 등에 인터뷰를 확대하고 보도자료를 적시성 있게 배포하는 등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주민들 시선이 따갑다.
또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민선8기 특색사업인 민원상담관제 도입과 관련, 엄 담당관은 “찾아가는 현장행정으로 변경 운영, 민원현장을 확인하고 취약계층 민원 목소리를 청취하는 등 시민들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에 그쳐 내년 사업비 반영이 불투명해졌다.
시의회 다수당 의원을 중심으로 퇴직 공무원 배제 및 행정복지센터 배치 금지 등 2가지 조건이 거론되면서 이를 전제한 뚜렷한 개선 방안 없는 사업비 반영에 난색을 표하고 있어서다.
A시의원은 “민원상담관제도는 그 취지에 반해 퇴직공무원 위촉과 또 이들을 일선 행적복지센터에 배치하는 방법이 문제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이런 문제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제도 도입은 쉽지 않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구리시 사회단체 관계자는 “구리시가 작지만 강한 지방정부로 특색 있고 또 공직 사회가 소신있는 행정으로 지역사회 발전을 선도해 주었으면 한다”면서 “소통과 행복이 중요한 시대적 화두를 일선 공직자 스스로 지켜내면서 소신 있는 행정을 추진해 주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구리=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