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칼럼] 알코올성 간질환, 회복 지름길은 ‘금주’

과도한 음주땐 지방간·간경변증·간암 이어져 주기적인 검사 필요

image
전용준 다사랑중앙병원 내과원장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가 늘고 있다. 평소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이라면 알코올성 간질환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주기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

통계청의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알코올 관련 질환의 총 사망자는 5천155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번에 발표된 통계에서 눈여겨볼 만한 점은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다. 2020년 3천941건으로 전체 알코올에 기인한 사망 원인의 76.4%를 차지했다.

장기간 술을 계속해서 마시게 될 경우 간 기능 장애를 보이는 알코올성 간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장기화된 경기 침체와 코로나19로 인한 혼술과 홈술이 느는 등 음주 습관의 변화가 많다 보니 앞으로도 알코올성 간질환을 겪는 환자 수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사랑중앙병원 통계에 따르면 알코올성 간경변을 갖고 있는 입원 환자는 2022년 1~3월 107명, 4~6월 128명, 7~9월 158명으로 집계돼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과도한 음주는 지방간을 초래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간세포에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뜻한다. 이 질환은 증상이 거의 없고 간혹 상복부의 불편함이나 피로를 느낄 수 있으며 단주 시 4~6주 이내에 정상 간으로 회복 또한 가능하다.

더 나아가 지속된 음주는 간이 딱딱하게 굳는 간경변증 혹은 간암으로 이어져 급기야 생명마저 앗아간다.

이른 나이에 술을 시작하는 경우 간질환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음주교육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알코올성 간질환에는 금주가 최선의 예방법이자 대책이다. 간질환은 조기에 증상을 발견하기 어려운 만큼 평소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이라면 병원을 방문해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정신과적인 치료를 받거나 주기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

전용준 다사랑중앙병원 내과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