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Q&A] MBTI 검사결과가 제 성격이랑 다른 것 같아요

성격은 입체적… 다양한 심리검사 권장

image

Q. 저는 MBTI검사에서 E(외향형)유형이 나왔습니다. 저는 친구가 많은 편이지만 평소 말이 많지도 않고, 혼자 있는 것도 좋아하는 편입니다. 제 성격과 다르게 나온 것 같아 제 유형이 맞는지 헷갈립니다. 제가 외향형이 맞는 걸까요? 저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하려면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할지 궁금합니다.

A. MBTI 검사 결과가 실제 성격과 다르게 느껴지시는군요. 몇 해 전부터 MBTI가 유행하면서 성격유형으로 상대를 파악하는 것을 흔하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신과 타인의 성향과 성격을 쉽게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어 서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쉽게 검사를 사용할 수 있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MBTI는 개인의 타고난 선천적인 선호 경향을 파악해 심리 유형에 따라 4개의 지표를 통해 인간의 성격유형을 16가지로 분류했는데, 대표로 E(외향형)와 I(내향형)가 있습니다. E는 활발하고 말이 많으며 낯선 사람들과도 쉽게 친해지는 성격, I는 조용하고 말이 없고 수줍어하며 소극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I도 친밀한 관계에서 E로 보이기도 하며, E역시 낯선 사람 만나기를 어려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렇듯 검사 결과가 실제 성격을 섬세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는 성격이 두 개의 범주가 아닌 스펙트럼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인터넷에 떠도는 간이 검사 중 일부는 출처가 분명하지 않고 짜깁기 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식 검사인 MBTI 한국어판 ‘MBTI FormQ, M(어세스타)’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해당 성격유형의 일반적인 특성과 세부적인 개인의 성격특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MBTI는 기질이나 심리 상태를 깊게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심리상담센터에서는 MBTI에 비해 신뢰도나 타당도가 입증된 ‘다면적인성검사(MMPI)’와 ‘기질 및 성격검사(TCI)’, 추가로 투사검사인 ‘문장완성검사(SCT)’, ‘그림검사(HTP)’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가까운 상담센터에 내방해 상담과 심리검사를 통해 깊이 있는 자기 이해와 성장을 경험하시길 바랍니다.

김장미 수원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