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란한 고대 문명과 콜로니얼 문화가 공존하는 멕시코 여행 에세이] 9-⑦

문화·예술의 천국 소우마야 박물관

image

무세오 소우마야(Museo Soumaya)를 둘러보고 이곳을 미술관이라 해야 할지 아니면 박물관이라 해야 할지 고민하다 이곳의 에스파냐어 고유 명칭에 따라 박물관이라 칭한다.

루브르 박물관과 오르세 미술관처럼 전문가가 아니면 두 단어의 의미를 경계 짓기가 쉽지 않다. 박물관이면 어떻고 미술관이면 어떤가.

단지 그곳에 전시하고 있는 예술 작품을 감상하고 그 가치와 의미를 가슴으로 느끼면 되지 않겠는가.

여행지에서 다양한 예술 작품을 관람할 때 느끼는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감성의 벽을 넘어서는 데 어려울 때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보고 느낀 감정이나 영감을 또 다른 호기심을 가지고 바라볼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새로운 예술 세계에 빠져들 수 있다.

‘여행의 기술’의 저자 알랭 드 보통(Alain de Botton)은 프로방스에서 반 고흐의 그림을 보고 작품 속 올리브 나무와 사이프러스를 자신만의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봤다. 그리고 그는 고흐 그림에서 느낀 감정을 자기 작품 속에 또 다른 문학적 시각으로 형상화해 교술함으로써 독자를 작품 속으로 인도했다.

이처럼 여행지에서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찾아 새로운 호기심을 가지고 아름다운 예술의 가치를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면, 이것 또한 여행에서 얻을 수 있는 묘미가 아니겠는가.

이렇듯 글을 쓰는 문학과 예술은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서로의 사상과 사유를 함께 교유(交遊)할 수 있는 다정한 친구이자 연인이다.

박태수 수필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