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을 비롯한 기본적인 응급처치법은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서라도 꼭 배우고 익혀야 하는 필수사항입니다”
심폐소생술교육 자원봉사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7월 경기도지사 표창을 받은 오산하트세이버봉사단 김근향 교육 강사.
지난 2015년 오산시 자원봉사센터 하트세이버봉사단(심폐소생술 교육봉사)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이수한 김 강사는 현재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을 가르치고 있다. 또 하트세이버봉사단 총무로 단원들의 강사자격 취득과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연구 활동으로 교육 자원봉사자 양성과 활동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김 강사는 “오산하트세이버 봉사단은 심폐소생술을 교육하는 전국 최초의 봉사단으로 전문 강사자격증을 취득한 19명의 단원이 순수한 봉사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강사는 지난 2017년 대한심폐소생협회에서 일반강사 자격증을 취득한 이후 오산시 지역 내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등을 가르치고 있다.
이와 함께 2018년부터 자원봉사센터 1층에 마련된 심폐소생술 상설교육장에서 일반 시민에게 교육하고 있다.
김 강사는 “교육은 심폐소생술을 기본으로 자동심장 충격기(AED) 사용법, 기도 폐쇄 처치법 등 기본응급처치법에 대해 2시간 내외로 진행된다”고 전했다.
이 같은 활동으로 김 강사는 1365 포털시스템 기준 428시간의 심폐소생술교육봉사 실적을 쌓았으며 2018년 오산시장 표창을 받기도 했다.
김 강사는 “심정지는 심장이 예고 없이 갑자기 박동을 멈추는 상태로 4분 이내에 적절한 처치를 하지 못하면 생존율이 낮아지는 매우 위험한 상태를 뜻한다”고 말했다.
이어 “심정지는 50% 이상이 가정에서 발생하고 전체 연령층에서 고르게 발생한다”며 “위급상황에서 심폐소생술만이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유일한 수단”이라고 밝혔다.
자원봉사라는 어려움도 있지만 ‘인명을 소생시키는 전문 봉사자’라는 자긍심으로 활동한다는 김 강사는 “한 번 교육을 받았더라도 최소 6개월에 1번 정도는 재교육을 받아야 위급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며 정기적인 재교육을 강조했다.
김 강사는 “심폐소생술은 내 가족의 생명을 살리는 최고의 방법으로 코로나19 상황이 하루빨리 개선돼 보다 많은 시민이 교육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오산=강경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