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내 한 원로, “이제는 미래 설계해야 할 때”
구리시 공직사회가 6·1 지방선거 후유증으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선거 전후로 주요 공직자들을 상대로 한 잇따른 고발에다 30여 명에 달한 인수위 파견 공무원 등을 둘러 싸고 내부갈등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구리시 등에 따르면 백경현 구리시장 당선인측은 선거가 지난 10일 안승남 시장을 비롯한 Y서기관과 사무관 등 인사 책임자를 직무 유기 및 직권 남용 등으로 경찰에 고발했다.
구리시장직 인수위원회 활동을 위한 사무 직원(공무원)의 파견 요청을 불응했다는 이유다. 최초 조례 위반 등으로 고발됐으나 뚜렷한 처벌 조항 등이 없어 반려 처분되자 직무 유기 등의 혐의로 재고발 등의 단계를 밟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총 32명의 공무원 파견시 행정 공백 등이 우려된 만큼, 인근 지자체 파견 사례(2~7명 등) 등을 참조, 파견 숫자를 최소화와 함께 인수위 명의의 공문 발송 등을 요구하면서 갈등을 빚었다.
앞서 백 당선인측은 선거 하루 전인 지난달 31일 안 시장과 함께 L·K사무관 등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경찰에 고발했다. 시정소식지를 통해 공사(땅파기와 건축)를 시작하지 않는데도 진행 중인 것처럼 표현, 선거에 영향을 끼치려 했다는 요지다.
하지만, 사업을 시민에게 알리는 수준인데다 문제의 ‘공사’는 ‘토목과 건축에 관한 일’이란 사전적 의미를 볼 때 전반적 과정을 포괄하는 일부 해석도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된 사업은 예산 확보와 함께 설계를 끝내고 현재 건축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공무원 재직시, 부당 파견 인사 등으로 피해를 봤다는 당선인측 인수위 S사무국장(퇴직 공무원)의 인권위 제소건으로 Y국장 등 당시 인사 담당 공직자들이 경찰 수사에 응해야 할 상황이다. S사무국장 또한 직권 남용 등으로 A씨(퇴직 공무원)로부터 고소당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인수위에 파견된 30여 명의 공직자들의 태도 등이 도마위에 오르며 공직 내부 불협화음이 노출되고 있다. 특히 후보자 간 갈등이 공직 내부에 투영돼 편가름 현상을 불러오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 내 한 원로는 “선거 중 후보자 간 법적 마찰 건은 있을 수 있겠지만 공무원까지 건건히 법의 잣대를 들이댄 것은 경중을 떠나 과하고 보복 정치라는 생각이 든다”며 “공직자는 줄서기가 아닌 업무로 평가 받아야 마땅하며 당선인측 또한 선거가 끝난 만큼, 관용과 화합으로 미래를 설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구리=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