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KT, 완전체 불구 5할 승률에 부족한 2%

‘투타 핵’ 데스파이네·박병호·황재균 6월 부진…선수단 투지·벤치 전략도 ‘밋밋’

kt wiz

갈 길이 먼 ‘디펜딩 챔피언’ KT 위즈가 하위권 순위에서 벗어나 6월부터 반등을 시작했으나, 여전히 벤치와 투·타에서의 문제점을 드러내며 좀처럼 5할 승률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KT는 13일 현재 28승2무31패 승률 0.475로 7위를 달리고 있다. 5·6위인 삼성과 두산에 0.5게임 차로 따라붙었지만, 선두 SSG와는 11게임으로 격차가 크다.

이런 상황에서 KT는 최근 전력에서 이탈했던 강백호가 돌아왔고, 대체 외국인 투수 벤자민과 대체 외야수 알포드가 합류하면서 완전체를 이루게 됐다. 더욱이 강백호가 6월 4일 복귀 후 4경기서 무안타로 부진했으나, 이후 4경기 연속 안타(16타수 8안타, 타율 0.500)로 타격감을 완전히 되찾았다.

새 외국인 투수 벤자민은 9일 키움전서 첫 등판해 3이닝동안 13타자를 상대로 2피안타, 3탈삼진으로 무난한 데뷔전을 치뤘다. 하지만 구위나 구속 모두 날카로움을 보여주지 못했다. 지난주 합류한 타자 알포드는 퓨처스리그(2군) 2경기서 컨디션을 조율하고 14일 드디어 1군 무대에 합류한다.

외형상으로 완전체를 이뤘지만 2% 부족함이 느껴진다. 단적인 예가 지난 12일 롯데전이다. 전날 선발 고영표가 무사사구 완봉 호투를 펼치며 4대0 승리를 거뒀지만, 다음날 17안타를 얻어맞고 0대13 참패를 당했다. 선발 투수 데스파이네는 5⅓이닝을 던져 홈런 2방 포함 10피안타로 7실점(6자책점)으로 난타당했고, 타선은 산발 6안타로 침묵했다.

지난 두 시즌 두 자릿수 승리(15승, 13승)를 거뒀던 데스파이네의 구위와 제구가 예전만 못한 데다 여전히 불안한 불펜 마운드가 문제다. 데스파이네는 이번 시즌 피안타 1위(89개), 실점 3위(43점)로 제 역할을 못해주고 있다.

또한 타선에서는 조용호, 장성우, 배정대 등이 최근 좋은 타격감을 보이고 있는 반면, 5월을 지탱했던 박병호와 황재균이 6월 들어 부진하다. 5월 11개의 홈런과 28타점을 몰아쳤던 박병호는 6월 10경기서 4안타, 1홈런, 6타점, 타율 0.114를 기록하며 ‘삼진 머신’으로 전락했다. 황재균도 6월 0.205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중하위 타선을 전전하고 있다.

반환점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 여전히 중하위권에 머물러 있는데도 팀 내 독기가 엿보이질 않는다. 감독은 수억 원을 들여 영입한 외국인 타자를 ‘대타 기용’ 운운하는가 하면 박빙의 승부나 열세 상황에서도 좀처럼 작전을 내지 않고 타자에게만 맡긴다. 지난해 번득인 ‘강철 매직’은 찾아보기 어렵다.

박병호를 비롯한 상당수 타자들 역시 득점권에서 팀 베팅보다는 어이없는 삼진과 병살로 기회를 무산시킨다. 1,2위인 SSG와 키움 타자들이 상 하위 구분 없이 기회에서 집중력을 발휘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KT가 모처럼 이룬 반등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상위권 도약을 위한 벤치와 선수단의 멘털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황선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