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구리시정은?…집행부와 의회 권력 양분, 협치 목소리

image

민선 8기 구리시는 집행부 권력은 국민의힘, 의회 권력은 더불어민주당으로 각각 양분되면서 견제와 균형의 장치가 마련됐다.

국민의힘 백경현 후보가 구리시장에 당선돼 집행부 권력을 차지한 반면, 비례대표 등 총 8명의 기초의원(시의원)을 뽑는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5명을 당선시켜 1당이 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이 시의회 의장은 물론 부의장까지 차지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를 두고 지역 정가는 민선 8기 4년 동안, 집행부의 일방 독주를 차단할 수 있는 절묘한 수의 견제 장치가 유권자들의 표심으로 반영됐다며 애써 의미를 찾고 있다.

우선, 구리시장에 당선된 백 당선인은 민주당 후보로 나선 민선 7기 안승남 현 시장과 7회 지방선거에 이어 리턴매치를 벌였다. 그 결과, 4년 전 패배를 딛고 민선 8기 지휘봉을 잡게 됐다. 그는 민선 6기 보궐선거에 출마, 당선됐으나 2년 후 곧바로 치른 선거에서 안 후보에게 패배, 와신상담 재기를 노린 끝에 승리를 차지한 셈이다.

백 당선인은 당선 소감 형식의 시민과의 첫 약속으로 ‘오직 구리시와 구리시민 만을 위한 시정을 펼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1호 공약으로 내놓았던 사노동 구리 테크노밸리 부활, 한강변 워터파크시티 및 K-컨텐츠 한류허브도시 등 스마트 그린시티 조성 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하지만, 일찌감치 안팎으로 우려감이 적지 않다.

민선 7기 동안, 사노동의 경우 국책 사업으로 e-커머스 물류특화단지, 한강변은 A.I플랫폼 도시개발 사업이 양대 축으로 추진됐다. 이를 위한 GB해제 절차 진행 및 업체 선정 등 구체적 내용도 상당 부문 진행 중이다. 그의 공약이 이행되려면 이 사업들을 전면 철회하거나 큰 폭의 수정, 변경 등이 선행돼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만만치 않다. 1차 경기도와의 협의 과정은 물론 국가 정책 변경 또한 그리 녹록지 않다. 타당한 절묘한 행정 묘수를 찾게 될지는 두고 봐야 할 대목이다.

이런 가운데 공직 내부 분위기 또한 심상치가 않다. 소위 측근 중심의 줄세우기 인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공직 내부를 휘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우려가 현실로 확인될 경우 자칫 법적 다툼도 배제할 수 없는 형국이다. 선거 기간 중 제기된 후보 간 고소·고발건도 해결 해야 할 과제다.

반면, 의회 권력은 민주당이 잡게 됐다. 민선 7기의 경우 집행부와 의회 권력이 민주당에 집중돼 갈등이 있어도 곧바로 합의 등 대안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이 오래되지 않았으나 민선 8기는 현안 때 마다 딴판으로 흐를 공산이 크다. 때문에 소통과 협치가 필요한 대목이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백 당선인은 오로지 구리시와 시민 만을 바로 보겠다고 약속한 만큼, 사심 없이 구리시정을 이끌어 갈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민선 8기에는 진정 구리시의 백년대계를 위한 시책과 객관적이고도 합리적 리더쉽이 그 어느때보다 절실해 보인다”고 말했다.

구리=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