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치과 진료를 받았는데도 계속되는 구취 때문에 고민하는 환자가 많다. 요즘에는 마스크를 장기간 사용하면서 자신의 구취를 신경쓰게 된 경우도 많다고 한다.
특히 현대인들은 퇴근 후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과음을 하게 되는 경우, 기름진 안주까지 같이 과식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 두번이면 다행인데, 여러 번 반복되다 보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입 냄새가 심하게 난다는 것은, 내실뿐만 아니라 겉으로 보여지는 이미지가 중요한 시대에 오점이 될 수 있으므로 관리해야 한다. 그런데 나름대로 양치를 잘 하고 구강청결제로 수시로 가글을 해서 관리를 하는데도, 구취가 나고 속이 불편한 것은 위와 같이 뱃속의 문제를 의심해봐야 한다.
또한 향이나 냄새가 강한 음식을 먹은 경우, 말을 많이 하거나 물을 마시지 못해 입안이 건조한 경우, 여성에 한해 생리 중인 경우 등 일시적으로 입냄새가 날 수도 있고, 만성적으로도 입냄새가 심하다면 사회적으로 불쾌감을 유발해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건강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치아의 문제보다는 역류성식도염이 입냄새의 원인일 수 있다.
역류성식도염은 위산과 위장 속의 내용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괄약근 조직의 힘이 약해지면서 증상이 생기는데, 이것이 구취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대부분은 배달음식 또는 육류나 밀가루, 인스턴트 식품 등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을 많이 섭취했을 경우 역류성식도염 등의 위장질환에 걸릴 위험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역류성식도염의 경우 스트레스가 주요 악화 요인이 되지만, 평소 흡연과 음주를 하거나 불규칙한 식생활을 하는 것 또한 원인이 된다. 가슴 속이 화끈거리거나 뜨거운 것이 아래에서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염증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검사와 면담을 통해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진단이 되면, 약물치료도 필요하지만 생활습관 교정을 병행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비만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하고, 규칙적인 식사를 해야 하며 과식을 피해야 한다. 또한 식사는 천천히 하고, 취침 전 4시간 이내에는 아무것도 먹지 않는 것 또한 중요하다. 평소 꽉 끼는 옷은 복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느슨하고 편안한 옷을 착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음식의 종류에 있어서도, 맵고 짜거나 신 음식 같은 자극적인 것은 위산을 분비하도록 하여 가슴 쓰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좋지 않다. 또한, 고지방 음식도 상대적으로 위에 오래 남아있기 때문에 위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카페인이나 탄산음료는 하부 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약화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 마시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보통 식도염이 진행이 되는 경우 구취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그 외에 역류성 식도염의 주된 증상으로는 목의 이물감, 혹은 신물이 넘어오기도 하고 목소리가 쉬는 등의 경험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니 이러한 증상이 느껴진다면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셔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한다.
강기원 제일경희한의원 대표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