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기고] 모두를 포용하는 지속가능 발전

image

1980년대는 빈곤 문제가 경제성장을 통해 자연히 해결될 것이라는 신자유주의 풍조가 팽배했으나 1990년대는 국제사회가 빈곤감소를 위해 사회 정책을 적극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대두됐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의 다양한 개발 주체들이 제시한 목표들이 통합돼 UN의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ium Development Goals)가 탄생했다. 그 결과 2001~2015년까지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각국 정부가 참여해 추진했는데, 바람직한 성과를 거두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MDGs는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추진하였으나 개발도상국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반기문 UN 사무총장은 MDGs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해야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2015년 이후 지구촌이 추진해야 할 중점 과제를 검토했다.

그는 제70차 UN총회에서 2030년까지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인류공동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제안한다. SDGs는 MDGs보다 훨씬 더 포괄적인 면에서 저개발도상국, 선진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들의 번영을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환경부가 주관해 지속가능발전법,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국제개발협력기본법 등 정부 정책 및 관련법을 통해 2030년 까지 SDGs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 의제는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것(Leave no one behind)”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인간(People), 지구환경(Planet), 번영(Prosperity), 평화(Peace), 파트너십(Partnership)이라는 5개 영역은 물론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전 유엔이 추진했던 MDGs가 빈곤퇴치를 주로 다뤘다면 SDGs는 경제발전, 사회불평등, 환경보호 등을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성경(창1:28)은 모든 생물을 잘 다스리라고 명령했는데 인간이 자연환경을 파괴한 결과 지금 인류는 코로나19의 창궐로 엄청난 인적 피해는 물론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다. 당면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국은 적극 협력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일찍이 개발도상국에 해외봉사단을 파견해 농업, 보건의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활동 하고 있다. UN이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한 지속가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기업, 단체는 물론 국가가 모두 협력하여 살기 좋은 지구촌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현우 보건학 박사·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홍보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