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4선에 도전하는 여야 중진 경기도의원들의 앞날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의원의 ‘동일 지역구 4선 연임 금지’ 제도를 지방의원에게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4선 도전에 나서는 염종현 의원(부천1)의 앞날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박윤영 의원(화성5) 역시 지역구의 지난 대선 개표결과가 ‘열세’로 나오면서 본선 경쟁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17일 민주당 정당혁신추진위원회에 따르면 혁신위는 이번주 안으로 당 비상대책위원회에 혁신위 활동 재개 등을 건의하기로 했다. 이후 국회의원과 지방의원의 ‘동일 지역 3선 연임 초과 제한’을 검토한 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3선 연임 초과 제한’은 같은 지역구에서 3번 연속으로 선출된 의원이 공천을 신청할 경우 이를 무효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로선 국회의원에 한정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대선에서 패한 민주당이 혁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당장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지방의원에게 적용하는 안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민주당이 국민의 신뢰를 다시 얻을 방법은 기득권을 내려놓는 철저한 자기반성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기에 국회의원과 지방의원을 대상으로 ‘동일 지역구 4선 연임 금지’라는 쇄신안을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4선 도전을 확정한 민주당 염종현 의원과 국민의힘 박윤영 의원의 앞날도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제10대 전반기 도의회 민주당 대표 등을 맡아 일본경제침략 비상대책단과 코로나19 비상대책단 구성 등 시급한 사안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며 당의 정책기능을 강화한 염 의원은 중앙당의 결정에 따라 자칫 도의회 재입성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민주당을 떠나 국민의힘으로 둥지를 옮긴 박 의원도 전반기 농정해양위원장을 맡아 농·어업 정책 비전을 제시하며 주목받았지만 지난 대선에서 자신의 지역구(화성 봉담읍·기배동·화산동) 개표 결과(국민의힘 41.04%, 민주당 55.20%)가 14.16%p 차 뒤지는 것으로 나와 본선 경쟁이 쉽지 않다.
염 의원은 “현재 4선 연임 금지를 당장 지방의원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며 “주어진 여건 속 최선을 다해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대선 격차는 노력 여하에 따라 충분히 뒤집을 수 있다고 믿는다”며 “차후 윤석열 정부와의 공조로 지역에 꼭 필요한 공약을 만들어 시민의 선택을 받겠다”고 전했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