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감염에 노출된 주야간보호시설…“종사자만 주5회 검사 무용지물”

노인 주야간보호시설에 대한 정부의 코로나19 방역조치가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종사자들에게는 사실상 매일 코로나19 검사를 하도록 한 반면, 자택에서 시설을 오가는 노인들에 대한 검사는 사실상 전무해 빈틈이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보건복지부와 주야간보호시설 등에 따르면 코로나19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지난 11일 ‘오미크론 대응에 따른 장기요양기관 방역강화’ 조치를 지자체와 관련 기관에 통보했다.

중수본은 방역조치 강화를 통해 장기요양기관의 종사자들이 백신 접종에 상관없이 시설 내에서 주 2회 PCR 검사, 주 2~3회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를 하도록 했다. 시설 이용자인 노인들에 대해서는 기존 방침대로 입소 시 백신 미접종자에 한해 PCR 검사 1회 뿐이다.

문제는 주야간보호시설의 경우 가족 간 감염 등으로 노인들이 곳곳에서 확진돼 시설 내 집단감염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가족과 함께 자택에서 코로나19에 확진된 노인이 양성 여부를 모른 채 시설에 들어와 활동하면서 추가 확진자까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위험 요인은 경기도는 물론 전국에서 나타나고 있다. 30여명의 노인과 10여명의 종사자가 출입하는 수원시 장안구 A 주야간보호시설에서는 22일 오전 80대 노인 B씨가 시설에 입소한 뒤 확진 판정을 받아 비상이 걸렸다.

이에 따라 A 시설은 종사자와 시설 이용자 모두 긴급용으로 보건소에서 지급된 검체수송배지(종사자용 2주분)를 우선적으로 사용해 PCR 검사를 한 뒤 보건소에 전달했다.

노인에 대한 부실한 방역 완화로 인해 시설 내 집단감염으로 이어진 사례도 있다. 노인 21명와 종사자 11명이 생활하는 군포시 대야미동의 C 시설에서는 지난 19일 전체 노인에 대한 코로나19 PCR 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 날 14명의 노인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후 21일 직원 11명에 대해서도 PCR 검사를 한 결과,10명이 확진돼 시설 폐쇄에 들어가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C 시설 대표는 “종사자들은 지속적으로 코로나 검사를 해온 만큼 노인으로 인한 전파가 이뤄졌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달 초 서울시 마포구의 한 시설에서는 노인이 가족과 함께 코로나19 확진이 됐고 양성 여부를 알지 못했던 노인이 잠복기 동안 시설에 출입, 시설 내 다른 노인 2명과 직원 1명이 추가 확진됐다.

오현태 사단법인 한국주야간보호협회장은 “종사자들에게만 주 5회라는 가혹한 검사를 요구하고, 시설에 똑같이 출입하는 노인들에 대해서는 확진 여부를 판단할 조치가 없어 정부 대책에 보완이 필요하다”며 “종사자들에 대한 방역 강화가 헛수고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PCR 검사 역량 자체에 여유가 없어 입소 노인들을 대상으로 의무주기적으로 검사를 할 수 없었다”면서 “주야간보호시설 이용자도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지원하는 부분에 대해 검토 중인 단계”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