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콕 쑤시는 어깨, 대표 질환과 원인은?

사람의 어깨는 팔을 돌리거나 뒤로 젖히는 등 다양한 활동에서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어깨 관절에는 극상근·극하근·소원근·경갑하근 등 4개의 힘줄로 이루어진 ‘회전근개’가 존재하는데, 어깨를 반복적으로 쓰면 이 회전근개가 파열돼 퇴행성 질환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어깨 통증은 대부분 ‘나이 탓’으로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있지만 성별이나 연령에 상관 없이 질환의 문제일 수 있다. 어깨의 대표적 질환과 원인을 알아봤다.

■회전근개 파열…4주 이상 지속 시 검사 받아야

회전근개가 파열되면 처음에는 부상 정도가 작다가, 점차 그 부위가 커지면서 힘줄이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 아픔이 커진다. 이를 방치하면 관절 손상으로까지 이어진다. 문제는 회전근개 파열 초기 통증이 심하지 않아 찜질이나 파스를 사용해 시간이 가면 증상이 완화되기를 바라고 방치하는 이들이 많다는 점이다. 경미한 통증이라도 4주 이상 지속되면 병원을 찾아 한 번 쯤 검사를 받아야 한다.

회전근개 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어깨 힘줄과 근육을 단련시켜야 한다. 어깨를 위아래로 으쓱이거나, 어깨를 앞뒤로 천천히 돌리기 등의 동작으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오십견’이라 불리는 유착성 관절낭염

유착성 관절낭염은 주로 중년의 나이에 특별한 외상 없이 어깨에 통증이 생기며 나타난다. 주로 50대 무렵 어깨에 생기는 통증이라고 해서 오십견이라 불리우나 연령과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통증은 노화 현상으로 많이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운동 부족과 스트레스, 불안정한 자세 등으로 인해 젊은층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처음에는 저절로 증상이 없어지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오십견에 걸리면 방향에 상관없이 어깨가 굳어져 팔 사용이 어려워 주의해야 한다.

■석회성 건염, 치료 후 증상 개선 빨라 ‘정확한 검진’ 필요

어깨질환 중 가장 흔한 것이 석회성 건염이다. 석회성 건염은 어깨 인대에 석회가 돌처럼 단단하게 뭉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증상 초기에는 어깨에 무거운 느낌과 함께 움직임이 불편하다가 석회화가 진행되면 팔을 들 때마다 따끔한 느낌이 든다.

석회성 건염은 X-ray 촬영만 해도 위치와 크기를 빨리 파악할 수 있으며, 치료 후 증상 개선도 빠른 편이다. 다만 목 부위에 통증을 겪는 경우가 많아 이를 목 관절 질환으로 오인해 잘못된 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으니 정확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공봉영 에스엘서울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비교적 통증이 경미한 초기 환자들은 비수술 치료를 적용하며 운동요법 및 약물복용·물리치료 등을 시행하나, 통증이 심할 경우에는 주사치료로 염증을 조절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