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활동으로 생긴 십자인대 파열, 방치하면 2차 손상 위험

겨울이 되면 눈이 소복히 쌓인 곳을 찾아 각종 겨울 스포츠를 즐기게 된다. 스키나 스노우보드, 스케이트 등이 주로 인기며 꼭 야외가 아니더라도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클라이밍, 요가 등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종목이 다양해지면서 스포츠를 즐기는 현대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갑자기 운동을 하면서 크고 작은 부상이 생길 수 있어 반드시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만약 운동 후 부종을 동반한 무릎 통증을 느낀다면 십자인대 파열을 의심해볼 수 있다.

특히 스키나 스노우보드는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체와 무릎을 움직이는 동작이 많다 보니 십자인대 파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십자인대는 정강이 뼈와 넓적다리 뼈를 연결하는 구조물로 열십(十)자 모양으로 교차한다. 무릎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위치에 따라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로 나뉜다. 이 십자인대가 손상되는 질환이 바로 '십자인대파열'이다. 주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많이 발생된다.

십자인대 파열의 초기 증상으로는 파열될 때 뚝 하는 소리와 함께 무릎에 통증과 열감이 생긴다. 처음에는 많이 붓고 걷지 못하지만 관절 내 출혈이 흡수되면서 구부러지는 것도 수월해지고 자연스럽게 통증이 줄어들어 가벼운 근육통으로 생각할 수 있어 방치되기 쉽다. 하지만 방치할 시 관절의 만성 불안정 증상 후에 발생한 무릎 내 연골판이나 연골의 추가 손상을 불러오기도 한다. 장기 방치될 경우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기에 병원을 방문해 치료하는 것이 추가적인 손상을 막을 수 있다.

공봉영 양주 에스엘서울병원 원장은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자연치유가 될 수 없다”며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대부분 반월상 연골 손상과 함께 퇴행성 관절염이 조기에 찾아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운동 후 무릎에 통증과 열감을 느끼는 등 십자인대 파열이 의심되는 경우 MRI 촬영을 통해 전방십자인대와 연골 등 관절 주변의 다른 구조물의 파열 여부를 확인하며 파열 상태와 환자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그에 적합한 치료법을 결정해야 한다. 파열이 심하지 않더라도 무릎 통증이 심하며 움직일 때 불안정성이 계속된다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으며 반대로 합병증의 위험이 높은 환자는 수술을 하지 않으며 비수술을 진행해 경과를 지속적으로 지켜보는 경우도 있다.

공봉영 원장은 “십자인대 파열 치료 후 일정 기간의 재활을 거치면 원하는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무엇보다 파열 전의 무릎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대퇴사두근 근력 재활을 지속하며 관리하는 것이 장기적인 예후에 중요하다”고 전했다.

김은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