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이 3년차에 접어든 새해, 변이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방역 위기에 대면 접촉이 어려워지면서 대통령선거의 선거운동 양상은 온라인에 집중되고 있다.
유튜브, 페이스북, 포털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는 국가 간의 경계를 넘어선 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기대가 컸던 반면, 그 그늘도 깊다. 사용자를 오래 머물게 하기 위해서 취향을 저격할 내용만 보여주도록 개발된 알고리즘은 시야를 편협하게 하고 자신의 생각과 유사한 정보만을 믿고 나누면서 사람들 간의 관계를 단절하고 본인의 생각을 더 확고하게 한다.
얼마 전 페이스북에서 일했던 내부고발자의 인터뷰를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하면서 페이스북의 문제점이 수면 위에 떠올랐다. 그의 말을 일부 인용하자면 페이스북이 가짜뉴스를 방치하고, 알고리즘이 정치적인 양극화를 조장하며 민주주의를 위협는 것을 알면서도 이윤 창출을 우선시해 외면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나라도 다르지 않다. 대선을 50여일 앞둔 지금 선거 관련 거짓 정보와 비방이 유통돼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정보만 믿는 확증편향이 표심을 왜곡하고, 사회를 불안과 분열로 이끌고 갈 수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허위사실과 비방에 신속하게 대응하고자 전국에 총 18개 팀 600여명으로 구성된 허위사실<2022>비방 특별 대응팀을 운영하고, 가짜뉴스 등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지능형 사이버선거범죄대응시스템’을 구축해 위법게시물 확산 차단에 주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딥페이크 영상 등 새로운 선거운동방법에 대한 운용기준도 마련했는데 딥페이크 영상을 이용해 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딥페이크 영상임을 표시해야 하고 영상물의 내용이 허위사실<2022>비방이 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렇듯 선관위는 시대 변화에 맞는 법규운용기준을 마련해 정당과 입후보예정자, 유권자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번 선거가 갈등의 씨앗이 아닌 화합과 통합의 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선관위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은 거짓정보가 확산되지 않도록 기술적인 조치를 고안하고 스스로 자정 노력을 할 의무가 있다.
후보자들은 상대 후보를 헐뜯고 비난하기보다는 정책과 비전으로 승부하고, 유권자들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공유하기 전에 정보의 출처와 저자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이번 대통령선거에서 유권자들이 거짓정보의 홍수 속에 휘둘리지 않고, 팩트에 기반한 후보자 검증을 통해 정책에 투표할 수 있는 아름다운 선거가 실현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김미향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홍보과 주무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