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려서부터 말 잘 듣고 공부도 잘하던 아들이 중학생이 되더니 학원에 빠지는 일도 많아지고 숙제도 하지 않으며 공부를 등한시합니다. 집에 오면 스마트폰으로 유튜브를 보고 앞으로 커서 하고 싶은 일도 없다고 합니다. 공부 이야기를 하면 화를 내니 대화하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A. 아이가 중학생이 되고 나서 공부를 등한시하며 성적이 떨어지니 엄마로서 걱정스러운 마음이 들고 아이가 화를 낼 때면 부모로서 어떻게 해야 하나 무력한 마음도 생기실 것 같습니다.
부모님들은 아이가 어릴 때부터 부모가 기대하는 아이의 학업 수준에 관한 주제로 대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부는 잘하고 있는지, 학원은 잘 다니는지, 숙제는 다 했는지 물어보는 경우가 많으실 겁니다. 어릴 적부터 아이들은 학교를 마치면 학원에 가서 공부하거나 늦은 시간까지 숙제를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부모의 기대는 아이가 무얼 좋아하는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합니다. 부모님의 관심이 학습에만 맞춰져 있다 보니 학업을 제외한 아이가 좋아하는 관심 분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반응하기 어려워집니다. 아이가 어느 분야를 좋아하는지 알려면 아이의 관심과 호기심에 열린 마음으로 반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는 이러한 부모님의 반응과 대화를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것, 자신에게 맞는 것을 알게 됩니다.
아이가 관심 두는 것이나 좋아하는 것을 의미 있게 바라봐주세요. 부모님의 기대에 못 미치더라도 관심 두고 시도해보려는 것을 소중하게 생각해 주세요.
더불어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힘들다면 가족 간의 소통에는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가족관계에 이전과는 다른 사건이 있었는지, 그 탓에 아이의 마음은 어떠한지, 의사소통에서 아이의 입장은 존중되었는지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김기희 수원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