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두바이 마이스 관광 산업과 대한민국

현재 이 시간 두바이에서는 중동 아프리카 최초의 엑스포(EXPO 2020 DUBAI UAE)가 개최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많은 관계자가 코로나19로 해외 이동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조심스럽게 두바이를 찾고 있다. 특히, 두바이 엑스포뿐 아니라 UAE의 마이스(MICE) 관광 산업에 대해 연구하고 벤치 마킹 하고자 자문을 요청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에, UAE의 마이스(MICE) 관광 산업에 대해 3가지 키워드로 소개하고자 한다.

▶ 산업다각화

UAE의 수도인 아부다비(Abu dhabi)는 GDP의 50%를 차지하는 석유, 가스 산업의 의존도를 줄이고자 2008년 ‘아부다비 경제비전 2030’을 수립하고 산업 다각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두바이(Dubai)는 아부다비와 달리 석유, 가스 자원이 거의 없어 일찍부터 무역, 관광,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를 발전시켜왔고, 복합관광 개발 정책인 두바이 투어리즘 비전(Dubai Tourism Vision) 2020을 추진하는 등 연간 2천만 명의 관광객 유치 달성을 목표로 박물관, 테마파크 등의 복합단지를 개발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 정부는 아부다비 역시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로 활성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문화예술

2017년 루브르 아부다비(Louvre Abu Dhabi) 박물관의 개관을 시작으로,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Gehry)의 설계로 2025년 완공 예정인 구겐하임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예술 시설이 아부다비 사디야트 섬 인근에 조성될 예정이다. 이 또한, 포스트 오일 시대를 대비하여 문화 예술 산업 쪽으로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공을 많이 들이는 모습이다.

▶ 관광산업

UAE는 포스트 오일시대를 대비하여 다양한 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산업 중 하나가 관광산업이다. 아랍에미레이트의 가장 대표적인 명소라고 한다면 세이크 자이드 그랜드 모스크(Sheikh Zayed Grand Mosque Center)인데, 이러한 종교적 공간을 문화체험 공간으로 각색하여 세계의 다양한 방문객을 끌어 모으고 있다. 특히, 모든 여성 관광객에 전통복장을 착용시켜, 중동 문화를 체험하게 하는 동시에 전통 복장을 입은 사람들 모습 자체가 또 다른 경관이 되고 있다.

엑스포 2020 두바이(EXPO 2020 DUBAI UAE)를 개최하며 UAE의 많은 변화를 느낄 수 있다. 2022년 대한민국에서도 많은 참관객이 두바이와 아부다비를 방문할 것이라 예상이 되는데, 엑스포뿐 아니라 중동의 다양한 모습을 다각도로 접할 수 있기를 바란다. 중동 시장은 충분히 살펴봐야 할 가치가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지난 2년간 대한민국의 여러 도시를 살펴볼 기회가 있었는데, 마이스 관광 선진국 UAE와 견주어 본다면 대한민국은 비교할 수 없이 많은 것을 가지고 있다. 사막의 척박한 나라 UAE에서는 무에서 유를 창조했다. 이제 대한민국 천혜의 관광 콘텐츠 자원에 대해 관점을 바꿔야 할 때다.

김유림 중국스포츠산업연합회 한국지부장 카타르 민간대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