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 여파에 경기 아파트 매수자 우위 시장 전환…“규제로 인한 가격하락 바람직하지 않아”

경기도의 집값 상승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도내 부동산 시장이 매수자 우위 시장으로 전환됐다. 집을 살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인데, 집값 고점 인식과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금리 인상 등이 맞물리면서 매수세가 크게 가라앉았다는 분석이다.

6일 한국부동산원의 매매수급동향에 따르면 지난주 경기도 아파트의 매매수급지수는 99.5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 이후 약 1년 7개월만에 100 이하로 떨어진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과천ㆍ안양ㆍ성남ㆍ군포ㆍ의왕이 있는 경부1권(96.4)과 남양주ㆍ구리ㆍ하남ㆍ광주 등이 포함된 동부1권(96.4), 김포ㆍ고양ㆍ파주로 이뤄진 경의권(97.5) 등이 100 이하로 크게 떨어졌다. 대부분 지난해 말부터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지역들이다.

다만 안성ㆍ용인ㆍ수원이 있는 경부2권(101.9)과 부천ㆍ안산ㆍ시흥ㆍ광명ㆍ화성ㆍ오산ㆍ평택 등이 포함된 서해안권(100.0), 포천ㆍ동두천ㆍ양주ㆍ의정부 등이 있는 경원권(102.7)은 여전히 100을 웃돌았다. 특히 비규제지역인 이천ㆍ여주가 포함된 동부2권의 매매수급지수는 109.2로 여전히 매도자 우위 시장이 유지되고 있는 모습이다. 비규제지역은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무주택자 기준 최대 70%까지 허용되고, 당첨자 발표 후 6개월이 지나면 분양권을 전매할 수 있는 장점 등으로 수요자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매물도 쌓이고 있다. 이날 기준 도내 아파트 매매 매물은 7만9천735건으로 지난달(7만4천932건)보다 6.4% 급증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 가격이 안정화되고 있지만, 규제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바람직한 변화는 아니라고 진단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공급과 수요의 문제보다는 대출규제 때문에 수요자들이 집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대출 규제가 완화되면 집값이 폭발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지금같은 규제는 양극화만 가속화시킨다”고 꼬집었다. 이어 “내년 대선을 기점으로 부동산 시장 규제에 따라 집값 상승세의 변곡점이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수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