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위해 아빠가 쓴… [아빠의 질문력], [어쩔 수 없이 허락했는데 게임 중독]

아빠의 질문력 (행복한북클럽刊)/
아빠의 질문력 (행복한북클럽刊)/어쩔 수 없이 허락했는데, 어느새 게임 중독! (길벗刊)

‘어떻게 해야 우리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은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 하는 고민이다. 여기저기 조언을 구해보기도 하고 수많은 검색을 통해 나름대로 육아 방식을 터득하게 된다. 하지만, 완벽하게 터득할 수 없는 법. 이에 아빠들이 직접 오랜 시간 고민한 육아 방법과 아이들과의 대화 방식을 담은 책을 써냈다. <아빠의 질문력>과 <어쩔 수 없이 허락했는데, 어느새 게임 중독>이다.

■아이에게 말 거는 게 가장 힘든 부모를 위해 <아빠의 질문력>

<아빠의 질문력>을 쓴 저자는 아이와 편한 관계이자 힘이 되는 존재가 되고자 하는 아빠 조영탁과 아빠와의 대화를 통해 생각과 태도를 많이 바꾸게 된 아들 조예준이다. 이들도 과거 대화의 단절을 경험했다. 아들은 “아빠는 늘 훈계만 한다”고 말하며 아빠는 “인생 얘기를 나누고 싶고 조언도 해주고 싶을 뿐”이었다.

조영탁은 자신의 ‘말’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가르치고 훈계하기보다 아이가 스스로 답을 찾아갈 수 있는 여러 가지 질문을 건네기 시작했다. 그러자 늘 단답형이었던 아들이 아빠보다 더 많은 말을 하게 됐다.

대화의 변화가 태도의 차이를 만든 것이다. 또 저자는 “대화를 나누려면 좋은 질문이 필요하다”고 전한다. 단답형으로 대답하는 아이를 서술형 아이로 바꾸고 생각을 키워주는 방법을 알고 싶으면 좋은 질문이 필요하다. 아이와 대화가 서툰 아빠라면 책을 통해 좋은 질문을 알아가는 것은 어떨까.

■게임에 빠진 아들 구하기 <어쩔 수 없이 허락했는데, 어느새 게임 중독>

<어쩔 수 없이 허락했는데, 어느새 게임 중독>은 눈을 피해 게임을 하는 아이와 사투를 한 아빠 김평범의 기록이다.

아이가 게임 하는 것을 보면서 ‘게임 하고 싶다고 조르면 어떻게 해야 하지?’, ‘정해진 시간에만 괜찮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저자는 이런 부모들에게 “부모라면 게임과 관련된 긍정적인 말들에 호도되지 마라”고 강조한다. 게임을 하게 만드는 게임회사의 전략에 넘어가지 말고 아이를 지키라고 꼬집는다.

저자는 문을 걸어 잠그고 숨어서 하는 게임 중독인 아이들과 한 번이라도 입씨름해본 적이 있다면 아이의 게임 문제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부모가 게임에서 아이를 적극적으로 꺼내야 한다는 것이다. 책은 아이를 게임에서 건강하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김은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