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치매 리포트] “시간ㆍ장소 구애받지 않는 예방사업 중요”

“비대면 활동… 시간·장소 구애받지 않는 예방사업 중요”
“공공·교육기관 등서 사회적 시스템 구축 필요”

2019년 6월 의왕시 오전동 주민센터에서 지역 어르신의 조기 치매검진을 위해 열린 ‘우리동네 기억 검진의 날’ 행사에 많은 어르신들이 검사를 하고 있다. 사진=경기일보 DB
지역 어르신의 조기 치매검진을 위해 열린 ‘우리동네 기억 검진의 날’ 행사. 경기일보 DB

고령화 사회는 늦출 수 없는 만큼 치매 예방에 힘쓰지 않으면 더 큰 비용을 내며 감당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치매 예방을 위한 사업과 대안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치매 문제 해결은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한데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추진 중인 정책과 사업 등이 치매 환자를 돌보는 방식의 후속조치 위주로 돼 있다며 △예방사업 △지속 가능한 정책 △정보의 통합관리 등을 강조했다.

김금선 한국치매예방협회 수원장안지부장은 도내 대부분 시ㆍ군이 코로나19로 인해 적극적인 치매 예방 활동을 펼치지 못하고 있지만, 하남시는 화상회의 앱인 ZOOM을 활용해 노래교실 등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했다며 비대면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지부장은 “대다수의 시ㆍ군이 코로나19 시국이라는 이유를 들며 단순하게 치매 예방 학습지를 노인들의 주소로 발송하는 것에 그치고 있는데, 실제 노인들이 지자체가 제공하는 치매 예방 학습지를 풀고 있는지 전혀 관리가 안 되고 있다”며 “하남시 사례와 같이 다양한 비대면 활동 추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 다 함께 모이는 게 불가능한 상황에 맞춰 활동 지원사가 직접 방문해 1대1 관리하는 방안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임춘식 전국노인복지단체연합회장(한남대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는 의료계나 학계에서는 치매를 명확한 치료가 불가능한 질병으로 구분,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치매 예방을 강화하려면 정부나 지자체, 언론 등에서 관련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노인층도 스스로 치매 예방 활동에 참여하는 등 노력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홍보 강화를 통해 치매 예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고취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평범한 일상 속에서도 치매 예방을 생활화하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며 “지역에 있는 공공기관이나 교육기관, 공동체 공간 등에서 자연스럽게 치매 예방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데이터텔링팀=정자연ㆍ채태병ㆍ김경수ㆍ이광희ㆍ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