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송도국제도시에 151층 인천타워 건립 재추진에 대한 논쟁으로 인천지역사회가 요란하다. 지난 8월 송도 주민이 인천시에 올린 시민청원이 발단이 되고, 이에 대해 인천경제청장이 원론적인 답변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시민들은 과거에 구상한 151층 615m 규모의 인천타워가 랜드마크로써 관광객의 유치에 필수적이기에 다시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인천경제청은 우선협상사업자와의 협상 과정에서 각계각층의 시민과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도 함께 수렴해 송도6·8공구를 문화·관광·업무 중심의 랜드마크시티로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고 밝혔다.
151층 인천타워 건립 논쟁은 2007년 송도랜드마크시티유한회사가 인천경제청으로부터 독점 개발권을 부여받아 추진하다 금융위기 등으로 개발 여건이 악화하여 2015년 공식 무산됐다. 이후 인천경제청은 송도6·8공구 중심부 개발을 위해 민간 우선협상대상자인 블루코어 컨소시엄을 선정해 막바지 조정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지난 4월부터 진행된 협상은 다음 달 6일 종료를 앞두고 있어 송도 주민들은 매우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다. 경제청 앞에서 1인시위를 진행하고 시내 곳곳에 현수막을 걸어놓으며 151층 건립을 강하게 주장하면서 지역의 이슈로 부각하고 있다.
지역주민들의 집단 민원은 급기야 인천경제청의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견제하기 위해 지역 시민단체가 나서게 됐다. 지난 14일 인천평화복지연대를 비롯한 12개 시민단체는 이원재 인천경제청장을 만나서 기후 위기 시대에 초고층 건물은 더 이상 불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이다. 기후 위기 시대에 부합하는 친환경적 도시개발 차원에서 랜드마크를 구상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송도국제도시 주민들의 집단 민원을 지역이기주의로 간주하면서 견제하고자 나서는 모습이다.
과거에도 송도와 청라의 개발 이슈에 대해 지역주민 간의 상충된 이해가 경제청장의 퇴진까지 거론하며 첨예하게 충돌한 적이 있다. 도를 넘는 주민 이기주의로 행정력을 낭비하는 전례를 경험하면서 질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선거철이 되면서 다시 이러한 병폐가 발생하는 것은 심히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지역 정치인들이 갈등을 해소하기는커녕 일부 주민들을 자극하고 있는 것은 청산돼야 할 적폐다.
내년에 실시되는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를 앞두고 송도지역의 일부 정치인들이 어설프게 초고층 건립 재추진을 공약으로 제시하면서 주민을 오도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 초고층 마천루를 통해서 주변 집값 상승을 기대하는 주민들의 말초적 이해를 자극하는 것은 정치인의 도리가 아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초고층 마천루에 대해서 경제성과 안전성, 과도한 탄소 배출량 등의 이유로 외면받고 있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기후 위기 시대에 지속가능한 친환경적인 도시발전을 위해서 지역이기주의에 바탕을 둔 소모적인 논쟁은 종식돼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