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도 경기남부지역 7개 시가 추진 중인 반도체산업 발전을 위한 ‘특별지방자치단체’ 가입을 추진한다.
곽상욱 시장은 “정부의 K-반도체벨트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AI 특성화 교육도시라는 도시 정체성을 감안, 경기남부연합에 가입하려 한다”고 17일 밝혔다.
이어 “오산시는 운암뜰 도시개발지구를 AI 스마트시티로 조성하고, 이곳에 AI 관련 빅데이터 소프트웨어 기업이 입주하는 지식산업센터를 건립하는 등 반도체 산업과 밀접한 비전을 가진 만큼 특별지자체 가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오산시는 이에 따라 경기남부연합 대표격인 용인시에 가입의사를 밝혔으며 오는 20일 곽 시장과 백군기 용인시장이 직접 만나 구체적인 협의를 할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지난 7일 정부의 ‘K-반도체벨트’에 수원ㆍ성남ㆍ용인ㆍ화성ㆍ평택ㆍ안성ㆍ이천시 등 7개 시는 ‘경기남부연합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특별지자체 설립계획을 공식화했다.
특별지자체는 2개 이상의 지자체가 공동으로 특정 목적을 위해 광역적으로 사무를 처리할 필요가 있을 때 설치할 수 있으며, 지난해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설치·운영 규정이 마련됐다.
특별지자체는 해당 지자체가 협의해 규약을 정한 뒤 지방의회 의결을 거쳐 행정안전부 장관의 승인을 받으면 구성할 수 있다.
특별지자체로 승격하면 각 지자체가 내놓은 예산을 재정으로 활용해 현 시의원들이 겸직 형태로 공동 의회를 구성하고 반도체 관련 사안에 대해 턴키 방식으로 의결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오산시를 포함한 8개 시로 구성된 경기남부연합이 특별지자체로 승인되면 인구 872만명(경기도 전체의 64.4%), 재정 규모 25조866억원(31개 시군의 59.9%)의 지자체가 된다.
오산=강경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