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에 얽힌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르면 다음주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를 불러들일 전망이다.
그간 특혜 의혹에 집중됐던 검찰 수사의 본류는 김씨 소환을 앞두고 화천대유ㆍ천화동인 실소유주 규명과 정관계 로비 의혹까지 크게 세 갈래로 확대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은 7일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을 전날에 이어 이틀째 불러 조사했다. 또 지난 3일 구속했던 유동규 전 경기관광공사 사장(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녹취 파일 제공으로 수사에 물꼬를 텄던 정영학 회계사까지 줄줄이 소환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특혜 의혹’의 중심에 선 유 전 사장과 그의 측근으로 알려진 김 처장을 상대로, 화천대유와의 사업 협약서에 초과이익 환수조항이 빠지게 된 경위를 집중 추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이날 성남도시개발공사 서버실 압수수색으로 대장동 개발사업 당시 내부 문건까지 확보했으며, 화천대유와 컨소시엄을 구성했던 하나은행 실무자 이모 부장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의 다음 타깃은 또 다른 핵심인물 김만배씨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김씨가 지난 2015년 유 전 사장에게 대장동 사업 관련 청탁을 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김씨 소환을 기점으로 유 전 사장의 배임 혐의가 입증되면 수사는 성남시 고위급 관계자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검찰은 당시 성남시장이던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관여 여부까지 들여다 볼 것으로 예상된다.
화천대유와 천화동인 1~7호의 ‘실소유주’도 규명해야 한다. 검찰은 전날 이성문 전 화천대유 대표와 이한성 천화동인 1호 대표를 불러들여 대장동 사업으로 천문학적 이익을 챙긴 각 법인의 지배구조와 자금 흐름을 조사했다.
현재까지 서류상으로는 김만배씨와 그의 가족, 남욱 변호사 등이 4천억원대 배당금을 나눠 가진 것으로 파악되나, 유 전 사장의 700억원 약정설 등으로 실소유주는 따로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유 전 사장 주도로 설립됐던 유원홀딩스 등 관련 회사들이 실체를 드러내며 이를 통해 화천대유의 자금을 실소유주에게 빼돌리려 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
곽상도 전 의원 아들의 퇴직금 50억원으로 불이 붙은 정관계 ‘로비 의혹’도 검찰이 풀어야 할 숙제다. 정영학 회계사가 넘긴 녹취 파일에는 사건의 핵심 유 전 사장과 김씨, 남 변호사 등이 로비 자금 350억원을 마련하는 문제로 언쟁을 벌인 내용이 담겨 있다. 이를 토대로 검찰은 여야 정치인과 법조인, 성남시의회 등에 뭉칫돈이 전달됐는지 살펴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관련자가 많아 당분간 계속해서 소환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