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장동 사업’ 두고 LH 국감서 충돌…민주당 ‘MB 정부 압력’, 국힘 ‘이재명탓

대장동 개발사업을 둘러싼 각종 의혹이 국정감사를 뒤덮은 가운데 여야는 7일 과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대장동 부지 공영 개발을 추진했다가 포기한 것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경기도지사(당시 성남시장)가 대장동 사업을 설계했다’며 책임을 돌렸고, 더불어민주당은 ‘이명박 정부의 압력 때문에 LH가 사업을 포기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거세게 맞섰다.

이날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LH 국감에서 국민의힘 박성민 의원은 “앞서 이 지사는 대장동 사업을 본인이 직접 설계했다고 얘기했다. 여기서 문제는 이 지사가 민간과 공공을 혼용한 공동개발을 추진하면서 공공이 토지를 싼값에 수용하고, 비싼 값에 분양하면서 돈벼락을 맞았다는 데 있다”며 “이 지사의 잘못된 설계 때문에 생긴 일확천금을 분배하고 가르는 과정에서 모든 문제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송석준 의원(이천) 역시 “대장동 사업을 위해 공동개발을 추진한 이 지사는 희한하게도 성남도시개발공사를 두고도 화천대유를 끌어들였다”며 “이는 양의 탈을 쓰고 탐욕스러운 불독의 모습을 감춘 ‘양두구육’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과 각종 특혜 등을 소수 특권층에게 나눠주는 비리가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더했다.

이에 맞서 민주당은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LH와 민간 기업은 경쟁하지 말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후, LH가 사업을 포기한 것을 집중적으로 파고들었다.

민주당 조오섭 의원은 “수익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을 포기한 이유는 이명박 정부와 당시 한나라당 신영수 의원 등의 외압밖에는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진성준 의원도 “지난 2009년 국감에서 신 의원이 대장동 개발사업을 포기하라고 종용하고 따로 이지성 전 사장을 찾아가 면담했다”며 “LH가 대장동 사업을 포기한 것은 민간업자들과 결탁한 정치인들의 강력한 로비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이 같은 여야 공방에 대해 LH 김현준 사장은 “당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주민과의 마찰 우려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울러 부채 관리를 위해 사업 규모도 조정한 것 같다”고 말했다.

임태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