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에 대해 양대 수사기관이 동시 수사에 나서면서 검경 수사권 조정 이래 첫 맞대결 구도가 형성됐지만, 경찰의 수사는 난항을 겪는 모양새다.
검찰이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이며 속도를 내는 상황에서 당초 경찰이 소환을 예고했던 이한성 천화동인 1호 대표마저 검찰에 출석했다.
6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남부경찰청 전담수사팀은 지난 5일 자금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계좌추적 등 강제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으나, 검찰 단계에서 제동이 걸렸다.
경찰이 금융정보분석원(FIU) 분석 자료 등을 근거로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 등에 대해 계좌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했으나, 수원지검에서 보완수사를 요구한 것이다. 검찰 관계자에 따르면 범죄 혐의를 증명할 증거나 정황이 부족하다는 판단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은 전방위적 압수수색을 벌인 뒤 대장동 사건의 ‘키맨’으로 꼽히는 유동규 전 경기관광공사 사장(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을 전격 구속했다. 이어 검찰은 녹취파일 제공으로 수사의 물꼬를 텄던 정영학 회계사까지 소환하며 퍼즐을 맞춰가고 있다.
화천대유와 천화동인 1호의 실소유주에 대한 실마리를 쥔 이한성 천화동인 1호 대표에 대한 경찰의 소환 계획도 뭉개졌다. 검찰보다 먼저 일정을 잡은 경기남부청 전담수사팀은 당초 이날 이 대표를 불러들일 예정이었지만, 이 대표는 검찰에 출석했다. 대신 경찰은 대장동 개발사업 착수 과정에서 타당성 검토 업무를 담당했던 성남도시개발공사 A 실장을 불러 조사했다.
천화동인 1호는 화천대유가 100% 지분을 소유한 관계사로, 대장동 개발사업에서 1천208억원을 배당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천화동인 1호가 소유하고 있는 ‘판교 타운하우스’ 매입 자금에 대한 추적으로 대장동 사건의 전모를 밝혀낼 가능성도 제기되는 만큼 경찰로서는 검찰이 주요 수사를 마친 뒤 뒷북을 치는 그림이 될 공산이 크다.
더욱이 경찰이 지난 5월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송부받은 대장동 개발 관련 부패신고를 석 달 만에 내사 종결했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되며, 지지부진한 수사에 더해 불신 여론까지 높아지고 있다.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실에 따르면 해당 사건은 토지 소유주가 대장동에 주소지를 허위 기재하는 방식으로 부당 이득을 챙겼다는 내용으로, 분당경찰서에 배당된 뒤 지난 8월 ‘혐의 없음’으로 종결됐다. 경찰은 신고 내용이 사실과 달랐으며 이번 ‘대장동 사건’과 무관하다면서도, 내사 자료는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한성 천화동인 1호 대표는 검찰에서 조사를 받고 이번주 내에 소환에 응할 예정”이라며 “다른 조사 대상자에 대한 소환 일정이나 수사 진행 상황에 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