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론] 지속가능한 지구 위한 변화와 행동

2018년 10월 인천 송도에서 제48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총회가 열렸었다. 이때에 각국 참여자들은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핵심 내용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제한 목표를 1.5도로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지금 국제사회는 이를 위한 탄소중립을 목표로 ‘변화와 행동’을 위한 결전을 벌이고 있다. 지구적 위기탈출과 인류의 지속기능성을 높여야 하다는 절박함에서다.

인류의 해법은 대체로 두 가지로 나뉜다. 맞서 문제를 해결할 것(대응)이냐, 상황에 맞춰 살 것(적응)이냐다. 대응과 관련해서는 원인물질인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거나 신·재생에너지 확대하기, 탄소흡수원인 숲 가꾸기와 목재 사용 활성화,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 포집과 저장 등이 제안된다. 적응에 대해서는 해수면 상등에 대비한 침수지역 보호, 보건·의료체계 강화, 철저하게 깨끗한 물 관리계획 시행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밖에 대응과 적응을 넘나드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탄소(국경)세 부과가 있다.

이들 가운데 자연적인 탄소흡수원이자 공기정화·기온조절장치를 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우선해서 주목을 받는다. 자연기반 탄소흡수원으로서 숲과 나무는 UNFCCC, IPCC 등 국제사회가 높이 평가하고 있다. 1997년 발표된 교토의정서는 신규조림, 재조림, 산림경영을 탄소흡수의 중요한 수단으로 정의했다. 2015년 파리협정 제5조는 “당사국은 협약 제4조 1항(d)에 언급된 바와 같이, 산림을 포함한 온실가스 흡수원 및 저장고를 적절히 보전하고 증진하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실제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오랫동안 지켜온 숲은 물론 무분별한 개발과 도시 확장을 억제하기 위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는 필요하면 언제나 조절해 쓰는 ‘내 맘대로 허리띠’가 됐다. 대규모 신도시 개발, 첨단 산업단지 조성이 전가의 보도처럼 등장한다.

하기야 갯벌,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품는 곳. 숲보다 훨씬 오랫동안 저장하는 동시에 그 흡수 속도는 육지생태계보다 최대 50배나 빠르다는 존재. 허나 아직은 숲이나 마찬가지의 ‘소모품 신세’를 크게 면치는 못한 것 같은 그곳까지 이르고 보면 우리라는 사람들은 꽤나 태평해 보인다.

그러나 이제부터 우리는 이러한 질문을 진지하게 마주해야 한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로 묶어놓겠다면서, 2050 탄소중립을 내세우지만 개발과 이익, 편리와 풍요라는 달콤한 옛 몽상에 취한 냄비 속 개구리 신세를 면치 못하는 것은 아닐지 매우 걱정스럽기 때문이다. 지금의 기후위기 ‘태풍’이 그리 멀리 있지 않고 특정 어디, 누구에게만 국한한 것이 아니므로.

지영일 가톨릭환경연대 대외협력위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