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 확충과 보건인력 처우 개선 등에 대한 정부와 전국보건의료노조 간 협상이 결렬돼 2일로 예정된 총파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보건의료노조는 8월30일 오후 3시부터 14시간에 걸쳐 밤샘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합의되지 못한 핵심 과제는 ▲코로나19 치료병원 인력 기준 마련 및 생명안전수당 제도화 ▲전국 70개 중진료권마다 1개씩 공공의료 확충을 위한 세부계획 마련 등 5개 부문이다.
파업 가능성이 커지면서 경기지역 의료 현장에도 비상이 걸렸다. 도내에서는 아주대의료원, 한림대의료원, 동국대 일산병원, 경기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 국립교통재활병원 등의 사업장 소속 노조원 7천500여명이 파업 참여 대상자다. 단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업무에는 필수 인력을 배치한다. 보건복지부 등은 필수업무 인력을 제외하면 (전체의) 30% 내외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최전선에 있는 간호 인력 등이 파업에 대거 동참하면 방역에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코로나 전담병원인 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에는 보건의료 인력의 90%가 노조원이다. 이에 따라 도의료원 등 주요 병원에서는 파업에 참가하는 내부 인원을 파악하고, 자제를 요청하는 등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 노조 측에서는 각 사업장에 환자 전원 요청 공문 등을 이미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소영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장은 “1일 오전 11시 노ㆍ정 교섭에서 협의가 안된 5개 부문의 협의를 다시 진행할 것”이라며 “보건의료 인력이 확충되고, 시스템이 보완되도록 관심과 힘을 실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