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은행이 오는 24일부터 11월 말까지 신규 주택담보ㆍ전세대출을 중단한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라는 금융당국의 대출 죄기 수위가 높아지자 내린 결정으로 보인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오는 24일부터 11월30일까지 신규 가계 부동산담보대출 취급을 모두 중단한다. 23일까지 접수한 대출만 기존대로 심사해 실행할 예정이다. 기존 대출의 증액, 재약정도 하지 않는다.
이 기간에 전세대출, 비대면 담보대출, 단체승인 대출(아파트 집단대출) 모두 신규 접수를 하지 않는다.
단 부동산을 담보로 한 긴급 생계자금 대출은 예외로 취급하고, 신용대출도 중단 대상에서 제외한다.
지난달 은행권에서만 가계대출 잔액이 9조7천억원 급증하는 등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좀처럼 잡히지 않자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강력한 관리방안을 요구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최근 금융위 직원들과 회의에서 “필요하다면 가용한 모든 정책 수단을 활용해 추가 대책도 적극적으로 발굴·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NH농협은행은 올해 상반기에 작년 말 대비 가계대출 증가율이 금융당국이 권고한 연간 증가율 5%를 이미 넘어 강한 압박을 받았다. 금리와 한도를 조정하는 것도 여의치 않자 ‘신규 대출 중단’이라는 초강력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NH농협은행은 가계대출 증가율이 당초 계획을 많이 초과한 탓에 신규 대출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KB국민ㆍ신한ㆍ우리ㆍ하나은행 등은 아직까지는 목표치에서 벗어나지는 않아 기존의 금리ㆍ한도 조정 방식을 통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NH농협은행의 신규대출 중단으로 다른 은행에 수요가 몰리면 목표치 관리에 적신호가 켜질 수도 있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강력한 추가 대책을 준비하는 한편, 개별 금융회사를 상대로 가계부채를 직접 관리하며 고삐를 더욱 조일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 관계자는 “NH농협은행 등 일부 금융회사의 가계부채 증가액은 연초에 정한 목표치를 이미 초과하거나 근접한 수준”이라며 “이달 중 특단의 조처가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