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 17.08%·시흥 13.82%·안산 13.64%↑, 지역개발·교통망 확충 호재 매수세 유입...인천 연수 13.76% 올라… 김포는 하락세
올해 경기도와 인천의 아파트값이 급등한 가운데 의왕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0일 기준 의왕시의 아파트값은 17.08% 올라 전국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시흥시(13.82%), 인천시 연수구(13.76%), 안산시(13.64%), 남양주시(11.44%), 양주시(11.01%), 안양시 동안구(10.82%), 의정부시(10.19%) 등도 아파트값이 10% 이상 상승했다. 그동안 아파트값이 덜 올랐던 지역이 개발 호재와 교통망 확충 등에 힘입어 매수세를 끌어들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전국 아파트값이 매달 1%대 상승을 이어가는 가운데, 17개 시도에서 경기도(7.45%)와 인천(7.39%)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의왕시는 월곶∼판교 복선전철(월판선)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수혜 기대감에, 올해 하반기 착공 예정인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등의 교통 호재가 많은 점이 아파트값 급등 이유로 꼽힌다.
경인지역에서 아파트값 상승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김포시로 올해 들어 2.26% 오르는데 그쳤다.
김포시 아파트값은 지난해 하반기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책에 따른 ‘풍선 효과’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D 교통 호재로 오르기 시작하더니, 11월 둘째 주에만 2.73% 뛰기도 했다. 이에 김포시는 작년 11월19일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고, 이후 투기 수요가 차단되며 급속히 안정됐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달 22일 GTX-D 노선이 서울과 직결되지 않고 김포도시철도 장기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이자 GTX-B노선인 부천종합운동장역을 잇는 것으로 발표되자 ‘실망 매물’이 나오고 가격도 하락하고 있다.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이날 기준 김포시의 매물은 한 달 전보다 6.2%, 6개월 전과 비교하면 27.9% 늘었다. 아파트값 상승률도 지난달 12일 이후 매주(0.08%→0.06%→0.02%→0.01%)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