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세요" 정진석 추기경 선종...5월 1일까지 5일장 진행

정진석 추기경이 선종한지 하루가 지난 28일 새벽 명동성당에서 염수정 추기경 주례로 선종미사가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정진석 추기경이 선종한지 하루가 지난 28일 새벽 명동성당에서 염수정 추기경 주례로 선종미사가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천주교 서울대교구장을 지낸 정진석 추기경이 투병 끝에 27일 선종했다. 향년 90세.

28일 천주교계에 따르면 1931년생인 정 추기경은 1950년 서울대 공대에 진학했다. 그러나 전쟁의 참상을 겪은 뒤로 1954년 3월 18일 서울 대신학교에 입학, 이후 7년만인 1961년 3월 18일 서울 명동대성당에서 사제품을 받았다.

신부가 된 정 추기경은 서울대교구 약현성당 보좌신부로 첫 사목활동을 했다.

1965년 7월부터 2년여간 서울대교구장 비서 겸 상서국장을 한 정 추기경은 1968년에는 이탈리아 로마로 유학길에 오른다. 3년간 라틴어 교사를 지낸 그는 1년 반 만에 교황청립 우르바노 대학에서 교회법 석사학위를 받았다.

정 추기경은 만 39세인 1970년 최연소 주교가 되며 청주교구장으로 임명됐다.

28년간 청주교구장으로 봉직한 그는 1998년 대주교로 승품하며 서울대교구장으로 자리를 옮겨 평양교구장 서리를 겸한다. 지난달 24일은 그의 추기경 서임식이 있은 지 15년이 되는 날이기도 하다. 당시 전 세계에서 정 추기경을 포함해 15명이 서임 예식에서 추기경 자리에 올랐다.

그를 한국의 두 번째 추기경으로 임명한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서임식에서 추기경을 상징하는 진홍색 사각모 ‘비레타(Biretta)’를 수여했다.

정 추기경은 27일 밤 오후 10시 15분 노환으로 입원해있던 서울성모병원에서 선종했다. 이후 자정께 천주교 서울대교구 명동성당에서 정진석 추기경의 선종미사가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추기경 주례로 봉헌됐다.

그의 시신은 선종미사 동안 명동성당 대성당에 마련된 투명 유리관에 안치된다.

정 추기경의 선종미사는 명동대성당 유튜브 채널로 생중계된다.

그의 장례는 다음 달 1일까지 5일장으로 진행된다. 조문은 ‘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한 가운데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할 수 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