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론] 제물포고 송도 이전 신중해야

인천의 대표적 명문고등학교인 제물포고를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고 그 자리에 교육복합단지를 추진한다고 한다. 도성훈 교육감은 지난달 16일 인천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6년까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인천교육복합단지 조성을 추진하겠다”며 “단지 예정지로 원도심에 있는 제물포고 부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인천교육복합단지에는 진로교육원, 인천남부교육지원청, 생태 숲, 교육연수원 분원 등 교육 관련 기관들이 조성되고 이 공간을 지역 주민들과 지자체 의견을 수렴해 향후 시민들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테마공간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복합단지가 조성될 경우 상주인원을 포함해 연간 유동인구가 112만 명에 이르고 동인천 지역을 포함해 중구 전체에 미치는 경제유발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도 교육감은 이를 통해 동인천 지역을 교육과 경제가 선순환하는 원도심 활성화의 발전모델로 구현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과연 그럴까?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학생들의 분산 배치, 수용에 대해선 어느 정도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이를 정당화, 합리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전 부지에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그 경제적 효과를 강조하는 것은 바람직한 교육정책이라고 볼 수 없다. 교육은 경제 논리가 우선시 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 그 자체, 즉 교육적, 사회적 측면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교육감의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모델로 삼겠다”는 발언 역시 앞뒤가 맞지 않는다. 원도심 학교를 이전하면서 원도심을 활성화한다?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괴면서 더 크고 좋은 돌이라는 미사여구에 불과하다.

시교육청은 연간 유동인구가 112만 명에 이르기 때문에 경제적 효과가 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교육복합단지 내 상주하는 인원을 포함한 수치기 때문에 생각보다 경제유발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사회적 갈등과 분열도 문제다. 제물포고 송도 이전 논의는 과거 2003년과 2011년에도 있었다. 하지만 당시 국회의원, 구청장 등 정치인들과 학부모단체,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히면서 결국 무산됐다.

다른 원도심 지역인 부산의 학교들(부산고, 부산남고)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지방선거가 1년 남짓 남은 시점에서 찬반을 둘러싼 공방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섣부른 제물포고 송도 이전은 원도심 공동화 현상을 가속화하거나 교육환경을 악화, 황폐화시킬 수 있다. 중구, 동구에서 연수구로 이전한 박문여중·고, 대건고, 송도고의 사례가 그렇다. 중장기적으로 각종 재개발이 진행 중인 중구, 동구의 인구 유입에 따른 학령인구 증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제물포고 이전 문제, 경제적 관점이 아니라 교육·사회적 차원에서 종합적이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이도형 홍익정경연구소장·청운대 연구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