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경기도 균형발전 퍼즐은 ‘安城’으로부터

지난 2월, 경기도 공공기관 이전계획이 발표된 이후 경기경제과학진흥원과 경기복지재단의 안성 유치를 향한 지역민의 염원이 끊이질 않고 있다.

곳곳에 나부끼는 현수막은 물론 SNS 참여 챌린지와 범시민 서명운동이 촉발되며 안성의 새로운 역사를 함께 그려가는 것이다.

안성시는 초기단계부터 공공기관 유치 TF팀을 구성, 지역균형발전과 입지 필요성 등이 담긴 공모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무엇보다 공공기관 이전의 패러다임은 각종 중첩규제와 개발제한 등 소외된 지역의 역차별을 해소하고 이용자의 편의성과 경기북부에 집중된 기관별 분산화 목표를 삼고 남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먼저 경기경제과학진흥원은 안성이 지닌 사통팔달 접근성과 중소기업 입지율 등을 바탕으로 국가균형발전의 또 다른 모태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안성지역은 경부와 중부 등 기존 3개 고속도로 외에 내년 개통 예정인 제2 경부고속도로 1단계 구간이 더해져 경기도 교통망의 핵심이 되고 경기도 소재 중소기업 중 82.1%가 경기남부권에 위치한다는 점은 창업과 R&D 지원 등 경과원 경영에 더욱 효율적으로 다가설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반도체융합캠퍼스로 지정된 폴리텍 대학 등 안성소재 5개 대학을 토대로 특화된 인재들이 꾸준히 배출되는데 이는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과 대학 간의 연구 협업으로 이어져 중소기업 육성은 물론 청년채용과 기술혁신의 밑바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엔 안성시와 경과원의 기업 지원 활성화 MOU가 체결되고 기후위기 대응 전략인 안성형 그린 뉴딜이 속도를 내는 등 적극적인 협업모델 속 지역산업고도화와 지속가능성의 화두를 다시 한 번 전했다.

경기복지재단 안성 유치는 도내 핵심사안인 영역별 격차해소에서 출발한다.

지난해 개소한 북부권역 센터는 존치하되 재단을 남부권역인 안성으로 이전해 복지 이원화의 초석을 다지고 수도권과 충청권의 연결고리에 입지함으로써 전국을 아우르는 복지재단으로 도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성의 고유성이 적용된 복지모델 구축도 기대를 모으는데 도시와 농촌이 혼재된 특수성을 비롯해 노인인구와 다문화가구 증가 등 재단이 지향해야 할 새로운 미래복지의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관내와 인접지역 대학 간의 정책연구 사업과 네트워크 구축으로 모델개발이 용이하고 변화하는 복지수요에 따른 안성시 조직개편은 업무의 전문성을 뒷받침한다.

특히 안성시가 추진 중인 맞춤형 노인 일자리 창출과 발달장애 안전망 구축, 안정맞춤 푸드플랜 등은 경기복지재단 사업과 맞물려 시너지를 발휘하고 삶의 질 향상과 지역 상생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안성시는 1982년 수도권 정비계획법 제정 이후 성장관리권역과 자연보전권역으로 분류돼 지난 40여년간 각종 규제에 묶여 특별한 희생을 치르고 있다. 지역균형발전과 명품도시 안성의 동행을 간절히 희망한다.

김보라 안성시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