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지역 내 다문화가정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통계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5천만 인구 중 5%에 육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사회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그중 교육에 대한 문제가 시급해 보인다.
지난해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외국인 주민현황조사에 따르면 만 18세 이하 다문화자녀는 처음 조사를 한 지난 2006년 2만5천여명에서 25만1천966여명으로 9배가량 증가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들이 초·중·고등학교에 다닐 수 있는 아이들로 성장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인천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인천시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인천 거주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현황은 전체 학령인구 31만138명 중 8천852명(2.9%)이다. 군·구별로 살펴보면 부평구, 서구, 남동구 등의 순이다.
최근 방역 대책 하나로 교육 당국에서는 온라인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비대면 수업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는 가운데 언론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학습격차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받는 일반적인 교육 프로그램들은 살펴보면 한국어교육, 기초학력, 학교 및 사회적응 등 기본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지원 대상은 대다수가 초등학생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교육이 형식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비판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이유이다.
시교육청 차원에서도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인천시의회 차원에서도 준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주도적으로 나서 시의회에 ‘인천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개선 정책 연구회’를 결성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학교생활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찾는 한편, 올바른 성장을 위한 맞춤형 교육 정책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회는 필자를 대표의원으로, 임지훈(부평5)·김진규(서1)·김성수(남동6) 시의원 등이 함께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법적 및 제도적 개선방안과 함께, 10개 군·구별 위치한 초·중·고등학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교육 현장에서의 실태 파악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역별, 학급별로 세분화해 체계적인 개선책을 내놓고자 한다.
그간 우리 사회의 다문화자녀 교육 정책은 중장기적 대책이 아닌 현실 문제에 대처하는 성격이 강했다. 이번 두 기관의 교육 정책 연구 결과물을 토대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서 함께 성장해 나가기를 기대해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