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독립만세’가 전국에 울려 퍼지던 1919년 3월1일. 누가 만세운동에 참여하고 누가 독립을 위해 힘썼는지 정확하게 아는 이는 몇 없다. 대부분 역사에 기록된 몇 명의 독립운동가만 알고 있을 뿐이다. 삼일절을 앞두고 100여 년 전의 당시 상황과 역사의 조명을 받지 못한 숨은 독립운동가들의 목소리를 책으로 만나보자.
■열 살 학생부터 평범한 농민까지 참여한 3ㆍ1운동…<만세열전>
3ㆍ1운동, 만세운동은 유명한 독립운동가 이외에도 학생과 교사, 농민, 노동자, 순사보 등 평범한 많은 이들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유명한 독립운동가가 아니기 때문에 역사에 거의 기록되지 않았다.
<만세열전>(생각전원刊)은 역사의 스포트라이트 뒤에 가려진 주인공들에 대한 이야기를 조명하고 있다. 책은 독립선언서의 배달하고 조선독립신문을 배포한 열아홉 살 김동혁 학생부터 경찰복을 벗고 만세 행진에 참여한 정호석과 그의 열 살 딸, 모진 고문을 견뎌낸 보성사 사무원 인종익까지 평범한 이들이 만세운동에 참여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책은 역사적 사실과 숨은 주역들을 조명하고 각 인물이 처한 상황과 고민을 다룬다. 그들의 활동과 잡힌 후 심문 과정에서 3ㆍ1운동에 참여했던 이유와 과정 등이 생생하게 전개돼 독자들은 100년 전 그날, 그곳에 있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용감해서 더 아름다운 독립운동가…<조선의 딸, 총을 들다>
광복 70년이 지났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여성 독립운동가는 유관순 열사뿐이다. 수많은 여성이 남성 못지않게 평생을 바쳐 투쟁에 나섰음에도 역사와 대한민국은 그들을 잊어버리고 있다. 안중근의 어머니 조마리아, 샌채호의 아내 박자혜, 이봉창과 윤봉기의 의거를 도운 백범 김구의 비서 이화림으로 기억되지만 그들은 누군가의 어머니나 아내이기 이전에 일본에 맞서 치열하게 싸웠던 독립운동가였다.
<조선의 딸, 총을 들다>(인문서원刊)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독립유공자 대열에서 잊힌 여성 독립운동가 24인의 삶과 행적을 복원했다. 책은 남자현, 동풍신, 부춘화, 김향화, 안경신 등 24명의 여성 독립운동가의 삶에 집중했다. 이들은 독립 호소를 위해 네 번째 손가락을 자르고 조선 총독 암살에 가담하고, 임신한 몸으로 평남도청에 폭탄을 던지며 일제의 수탈에 맞서 일경 파출소를 습격, 수원지역의 만세운동을 주도했다. 작가는 책을 통해 치열해서 더욱 빛나는 여성 독립운동가의 삶을 주목하고 ‘독립운동=남자’라는 편견을 무너뜨린다.
김은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