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세대란과 분양가 상한제 등으로 경기도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18년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특히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빠르게 감소, 그동안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까지도 소진되며 공급난이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15일 국토교통부 통계누리와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경기도내 미분양 아파트는 1천616가구로, 2002년 12월(1천318가구)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9년(5천85가구)과 비교하면 1년 만에 68%가량 감소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그동안 미분양 물량이 비교적 많이 분포했던 경기도 외곽 지역 물량이 가파르게 줄었다. ‘미분양의 무덤’이라고 불리던 평택시는 2019년 927가구에서 지난해 292가구로 급감했으며, 안성시도 같은 기간 967가구에서 267가구로 크게 줄었다.
또 같은 기간 화성시는 500가구에서 106가구, 남양주시는 262가구에서 67가구, 가평군은 191가구에서 12가구로 감소하는 등 도내 대다수 지역에서 미분양 물량이 사라지는 추세다.
일부 지역에서는 미분양 물량이 소폭 증가하기도 했다. 같은 기간 양평군의 경우 37가구에서 247가구로 늘었으며, 하남 역시 20가구에서 22가구로 소폭 상승했다. 다만 전체 물량 중 극히 일부인 데다 상승폭도 크지 않아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준공 후에도 주인을 찾지 못해 분양시장에서 소위 악성 재고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역시 지난해 12월 1천94가구로 직전년도(2천616가구)보다 58% 이상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높은 집값으로 인한 ‘탈서울’ 현상으로 서울 인근 부동산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만큼 이 같은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미분양 물량 수치는 시장에 물량이 나왔을 때 어느정도 속도로 소진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인데 이처럼 미분양 물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그만큼 시장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라며 “물량소진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어 추가공급마저 부족해지면 입주여건을 가리지 않는 무차별적인 가격 상승세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분양가 상한제가 시세 차익을 보장해주는 등 부동산 경기가 워낙 좋다보니 미분양 아파트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라며 “3기 신도시 등 새 아파트 물량이 공급되기 전까지 향후 4~5년 간은 이런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태희ㆍ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