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경기일보는 숫자라는 명백한 팩트를 통해 인천의 자랑을 알리고 문제점을 비판했다.
2021년 신축년(辛丑年)에도 경기일보가 써내려갈 숫자는 계속 이어진다. 경기일보에 담길 여러 숫자는 또 다시 인천을 웃고 울게 만들 것이다. 때로는 그 자체가 가진 팩트의 힘으로 누군가를 비난하고 스스로를 옥죌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들 숫자에서 인천이 도전하고 극복해야 할 길을 찾아야 한다. 인천은 주어진 숫자 속에서 과감히 미래를 예측하고 변화하며 나아갈 길을 열어야 한다.
294만2천307명. ‘300만 도시’를 표방하는 인천의 지난해 11월 기준 인구수다. 2019년 말 295만7천26명과 비교하면 인천의 인구는 1만4천719명이 감소했다. 300만명 달성 목표에서 오히려 뒷걸음친 셈이다. 인구 감소 속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19년 38만4천548명에서 40만9천458명으로 늘어났다.
인천은 올해 300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인구유입 정책과 복지 정책이 필요하다. ‘경제·사회구조 대전환을 통한 더욱 살기 좋은 인천’을 비전으로 하는 ‘인천형 뉴딜’이 단순한 희망고문에 그치지 않도록 민·관·산·학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 바이오산업 육성 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인천복지기준선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등은 신축년 새해에 인천이 반드시 도전하고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이들 과제를 풀어내야 장래인구추계에 따른 2035년 318만명의 대도시 인천이 가능하다.
2천928명. 지난해 12월 말까지 발생한 인천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수다. 지난해 12월 초부터 급격한 확산세를 보이기 시작한 이후 인천에서는 매일 50여명 안팎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덩달아 사망자도 30명까지 급증하며 전체 환자수 중 사망자 비율을 의미하는 치명률 역시 올랐다.
이 같은 코로나 사태 1년 동안 막대한 피해를 본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비롯해 기초생활수급자 등의 아픔 역시 커지고 있다. 지난해 이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시민생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들어간 예산만 1조8천억원이 넘는다.
그래도 인천은 백신의 개발·공급 등을 통해 코로나19가 종식할 때까지 버텨내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정책을 끊임없이 발굴·추진하면서 시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을 펼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인천은 그동안 내세웠던 ‘과잉대응’ 방역을 유지해야 한다.
3.3㎡당 2천230만원. 지난해 인천의 송도국제도시에서 분양을 마친 아파트의 최고 분양가다. 전문가들은 신축년 새해에 이를 갱신하는 분양가가 송도 등 신도시에서 다시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같은 분양가 상승세와 반대로 원도심의 부동산시장은 불안정하다.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구 지정 등에 따른 변수가 똬리를 틀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최근 원도심에서 분양을 시작한 아파트 분양가와 신도시의 분양가는 400만~600만원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이 같은 신·원도심간 격차의 원인은 인천의 가장 큰 숙제이기도 한 균형발전이다. 인천이 새해에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도로와 철도, 학교 등 각종 인프라 확충을 위한 국비 확보라는 난관을 넘어야 한다. 인천시 등 집행부의 치밀한 준비와 지역 국회의원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더불어 잘사는 균형발전을 이뤄내며 신도시와 원도심간 격차를 줄여나가야 진정한 의미의 ‘살기 좋은 인천’을 만들 수 있다.
경기일보는 지난해 여러 숫자를 통해 인천의 현주소를 분석했다. 또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묻고 답을 찾기 위해 각계각층의 시민을 만났다.
이 같은 노력은 인천이 ‘환경특별시’로 도약하기 위한 자원순환정책 발굴로 이어지고, 미래 세대를 위한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등의 청사진이 되기도 했다.
응원과 격려를 위한 숫자, 지적과 비판을 위한 숫자. 이들 숫자 모두 신축년에도 인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다. 경기일보의 숫자는 항상 인천을 위한 애정 어린 조언과 충고로 이어질 것이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