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95.2%로 역대 최고… 부동산 가격 상승 효과

정부의 거듭된 부동산 대책에도 집값이 치솟으며 법원경매에서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까지 규제지역에서 제외됐던 김포와 파주 등 서울 외곽지역은 4분기 들어 더욱 과열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21일 법원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법원에 경매로 나온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95.2%로, 이 업체가 법원이 공개한 데이터를 통해 통계를 분석한 2001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아파트 낙찰가율은 2017년 92.3%에서 2018년 89.3%, 지난해 85.5%로 2년 연속 하락했으나 올해 역대 최고 기록을 썼다.

올해 경매시장은 3분기까지 서울을 중심으로 낙찰가율이 급증한 가운데 정부의 규제를 피해 수도권 외곽으로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4분기 김포와 파주 등의 경매시장이 들썩였다.

3분기까지 규제지역에서 제외됐던 김포는 8월 90%대 초중반에 머물던 아파트 낙찰가율이 9월 100%를 넘겼고, 11월 131.2%까지 치솟아 과열 양상을 보였다. 파주도 10월까지 100% 아래에 머물렀으나 11월 108.1%로 급등했다.

정부는 11월 김포 등을, 12월 파주 등을 각각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어 부동산 과열 차단에 나섰다.

올해 연립·다세대주택의 낙찰가율은 71.6%, 단독·다가구주택은 74.8%로, 작년과 비교해 각각 0.6%p, 0.4%p 올라 아파트와 비교하면 상승 폭이 미미했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올해 주거시설에 몰린 경매 수요는 전세난 등 여파로 내년에도 아파트를 중심으로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또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코로나19가 경매시장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