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멈춘 카리브의 섬나라 쿠바 여행 에세이] 에피소드2-③

경쾌한 재즈·정열적인 살사… 그들의 애환을 담다

‘큄바라’라는 곡에 맞춰 살사를 추는 모습.
‘큄바라’라는 곡에 맞춰 살사를 추는 모습.

광장을 가로질러 아바나의 명물 오비스포 거리로 들어선다. 조금 전과는 너무나 다른 아바나의 모습이 눈에 들어오고, 어디선가 귀에 익은 ‘라 팔로마’가 들린다. 이집저집 기웃거리며 줄지어 선 레스토랑을 보며 마요르 광장 쪽으로 내려간다. 라틴재즈 연주 소리가 요란한 레스토랑 ‘Europa’ 앞에서 가던 걸음을 멈춘다. 종업원의 안내로 앞자리에 앉아 쿠바 맥주 ‘크리스털’을 곁들여 음식을 주문한다.

댄서가 ‘큄바라’(Quimbara)라는 곡에 맞춰 현란한 살사 춤사위를 펼친다. 경쾌한 타악기의 활기찬 선율과 리듬의 반복을 강조한 이 음악은 예술성과 대중성을 함께 갖춰 대표적인 살사 춤곡이다. 손님 모두 식사는 뒷전이고 정열적인 댄싱에 눈을 떼지 못한다. 댄서의 동작 하나하나에 짜릿한 전율을 느낀 옆자리 유럽 사람들은 리듬에 따라 어깨를 들썩인다.

두 남녀는 춤추는 동안 뜨겁게 서로 얼굴만 바라본다. 눈에는 이글거리는 사랑의 불꽃이 튄다. 이들처럼 쿠바인의 몸에는 들끓는 피가 흐른다. 그들은 평범한 일상에서도 자연스레 춤과 음악을 만날 수 있고, 올드 아바나 지역 어디서나 쉽게 거리 예술가를 만날 수도 있다. 특히 관광객이 많이 찾는 오비스포 거리의 레스토랑과 카페에서는 라틴 재즈 연주자·싱어·살사 댄서를 위한 크고 작은 공연 무대가 있다. 이처럼 쿠바인들의 춤과 음악은 일상의 한 부분이다.

큄바라의 리듬과 살사의 잔잔한 파동을 가지고 헤밍웨이가 머물렀다는 아보스 문도스 호텔을 지나 ‘아르마스’ 광장으로 간다. 좁은 거리에는 전 세계에서 찾아온 관광객들이 북적거린다.

서로 다른 피부색을 가진 사람들은 모두 행복한 표정을 지으며 스쳐 간다. 광장에는 프랑스, 영국, 독일,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온 단체 관광객들이 깃발을 든 가이드의 설명을 듣고 사진을 찍으며 얼굴에는 진지함이 가득하다. 이처럼 여행은 새로운 환경과 문화를 접하면서 감동하고 체험함으로써 생동감을 충전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이다.

카사로 돌아가는 길에 ‘Cafe Paris’에서 라틴 재즈를 연주하는 아프로 쿠반(Afro Cuban) 밴드를 만난다. 아프리카계 쿠바인들의 고전적 리듬과 재즈가 조화롭게 만나 즉흥 연주의 기교를 혼합한 형태인 라틴 재즈는 스페인 전통 음악과 아프리카 타악기와 춤이 혼합되어 쿠바 음악의 새로운 기원을 만들었다는 평을 받는다.

이 밴드는 기타와 콘트라베이스, 그리고 쿠바 전통악기 마라카스(maracas)와 여러 종류의 타악기로 구성되어 있어 누구나 연주를 듣다 보면 절로 흥겨워질 수밖에 없는 마력이 리듬에 숨겨져 있다. 아프로 쿠반의 라틴 재즈는 그들의 영혼이 담겨 있다.

쿠바를 사랑한 미국 작가 헤밍웨이도 아바나 오비스포 거리에 머물 때, 매일 저녁 라틴 재즈 밴드 연주를 들으며 ‘다이키리’나 ‘모히토’ 같은 럼 칵테일을 마시고 술과 음악에 취했다.

아프로 쿠반 밴드의 경쾌한 타악기 리듬은 쿠바인들의 자유를 향한 외침이다. 과거 식민 시절에는 침략자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한 몸짓이었고, 지금은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계로 나가기 위한 외침이다. 라틴 재즈처럼 쿠바인들은 언제나 그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욕망, 개방을 추구하면서 사회를 스스로 변화시킨다.

여행자의 거리 오비스포 거리.
여행자의 거리 오비스포 거리.

박태수 수필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