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K-방역의 성공, 가짜 뉴스 근절에 달렸다

정부가 수도권에 시행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오는 13일까지 연장한 가운데, 최근 ‘집회 참가자들에 대한 코로나19 검사 결과가 조작됐다’, ‘특정교회 신도는 무조건 양성 판정을 내린다’와 같이 코로나19 검사 자체에 의혹을 제기하는 거짓 주장이 급속도로 퍼졌었다. 이에 치료 중인 환자가 도망을 가고 검사를 받아야 할 대상자들이 검사를 받지 않는 등 방역 당국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달 15일 이후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한 상황에서 같은 달 16일에서 29일 사이 감염 재생산지수는 1.5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 이 수치는 확진 환자 1명당 평균 1.5명이 감염되고 있다는 것으로 감염 재생산지수를 1.0 이하로 낮춰야 확산세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기모란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장은 신천지발 코로나19 확산 때 우리가 K-방역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검사추적격리 3단계에 걸친 방역시스템이 촘촘하게 제대로 작동해 환자를 빨리 찾아서 주변에 있는 가족이나 접촉자를 격리시켜 확산을 막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언급했다. 또 가짜 뉴스를 믿고 검사를 안 하고 늑장을 부리고 있다가는 n차 감염이 더 크게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

2.5단계냐 3단계냐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도 차이일 뿐 이 자체로 방역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므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 모두가 하나가 돼 방역당국에 협조, 검사추적격리라는 방역시스템이 다시 제대로 작동할 수 있게 회복시키는 것이다.

경찰청은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관련 허위사실 생산·유포가 증가하는 양상”이라며 “사회적 신뢰를 저해하고 국민 생명ㆍ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를 철저히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방역은 과학의 영역이지 이념이나 사상의 영역이 될 수 없다. 현재 방역 최대 걸림돌은 검사 불참, 거짓말, 대면 집회, 깜깜이 환자라고 한다. 가짜뉴스로 인해 기저질환자나 노인층 등과 같은 사회적 취약계층이 검사받는 것을 회피하고 치료받을 시기를 놓쳐 제대로 치료받지 못해 안타까운 일을 당하는 일이 더는 생기지 않도록 경찰은 지난달 20일까지 코로나19 허위사실 유포,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해 127건에 연루된 202명을 검거하고 102건은 내사나 수사를 진행하는 등 가짜뉴스 유포에 그 어느 때보다 엄정히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다.

지난 봄 우리가 코로나19를 잘 극복해 내는 것을 보고 전 세계가 K-방역의 성공이라고 칭찬했다. 우리는 다시 한 번 전 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K-방역과 K-치안이 코로나19를 어떻게 극복해 내는지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고 있다.

김동민 수원남부경찰서 경비과 순경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