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준의 잇무비] '늙은 부부이야기',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

공연영화 '늙은 부부이야기:스테이지 무비' 포스터. 예술의전당
공연영화 '늙은 부부이야기:스테이지 무비' 포스터. 예술의전당

감독: 신태연(영상연출), 위성신(공연연출)

출연: 김명곤, 차유경 등

줄거리: 황혼에 만난 인생 마지막 반려자와의 끝사랑을 통해 삶의 눈부신 설렘과 속 깊은 교감이 주는 행복의 의미를 환기시키는 작품.

늙은 부부의 눈부신 끝사랑

30년 전 남편을 잃고 혼자 세 딸을 키워 모두 출가시키고 홀로 살아온 이점순. 어느 날 그녀의 집에 국밥집을 운영할 때 친분이 있던 사내 박동만이 불쑥 찾아온다. 박동만 역시 일찍이 부인과 사별하고 두 아들의 무관심 속에 외롭게 살아가던 처지. 예전부터 이점순에게 마음이 있었던 박동만은 작정을 하고 그녀를 찾아와 옥신각신 흥정 끝에 셋방살이를 시작한다. 홀로 자식들 키우느라 거칠어진 여인과 홀아비로 사느라 능청스러워진 사내, 달라도 너무 다른 두 사람의 동거. 황혼녘에 불어온 봄바람인줄 알았더니, 이점순과 박동만은 어느새 함께 여름을 맞고 가을을 거닐고 겨울을 기다리는 사이가 된다.

실버 전성시대의 '시니어 콘텐츠'

2020년 현재는 바야흐로 실버 전성시대다. 수명이 길어지면서 어느덧 환갑을 챙기는 것도 눈치가 보인다. 이런 시대에 웃음과 감동, 진정성까지 다 잡은 '시니어 콘텐츠'들의 대중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영화계는 물론 TV 예능, 공연, 유튜브 등에서 수많은 콘텐츠가 생산되며 노년의 주인공을 앞세워 인생과 사랑의 의미를 전하는 콘텐츠에 대한 소요 층은 탄탄히 확보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급격하게 고령화되고 있는 우리 사회의 '노년의 삶'과 '노(老)맨스'를 다루며 인생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들이 꾸준히 극장가를 들썩여왔다. 이에 '늙은 부부이야기:스테이지 무비'는 인생 끝자락에 새롭게 다가온 설렘을 오롯이 즐기는 가슴 뭉클한 그들의 이야기로 2030세대를 넘어 4050 중장년 세대의 마음까지 환하게 비출 예정이다.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 '공연 영화'

'늙은 부부이야기:스테이지 무비'는 예술의 전당 영상화사업 'SAC on Screen'으로 제작, 첫 공식 런칭하는 공연영화이다. 무대 현장을 찾아야만 관람할 수 있었던 공연작들을 대형 스크린으로 옮겨 누구가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만든, 새로운 형식의 '즐길거리'다. 이미 2013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이지만,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늙은 부부이야기:스테이지 무비'를 제작한 예술의 전당 유인택 사장은 "2013년 예술의 전당이 공연 영상화 사업을 시작할 때 공연계에서는 찬반이 있었지만, 나는 적극 지지했었다. 예산 문제로 민간에서는 엄두를 못 내는 작업에 공공극장으로서 적극적으로 임했다"며 "수익이 안 돼 공연 펀드에서 외면당하는 대학로 소극장 연극에게 스테이지 무비가 새로운 수입모델이 될 수 있을지, 공연과 영화가 만난 발전하는 시금석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개봉: 8월 19일

장영준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