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분야...인력 부족 ‘구인난’

한경연, 주요국 인력경쟁력 현황·전망 조사 미·독·일·중 보다 낮아 교육 인프라 확충 시급

미취업 청년이 올해 5월 기준 톱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는 오히려 구인난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의 4차산업혁명 관련 협회 9곳을 대상으로 ‘주요국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을 조사한 결과 올해 한국 4차 산업혁명 분야의 인력부족률은 29.4%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인력부족률은 업계 수요 대비 부족한 인력의 비율이다. 예를 들어 업계에서 필요한 인력이 100명인데 부족한 인원이 10명인 경우 인력 부족률은 10%다. 인력이 부족한 주요 기술분야는 드론(55%), 3D프린팅(35%), 로봇(35%)으로 모두 30%가 넘었다.

5년 뒤인 2025년에도 4차 산업혁명 분야 인력부족률은 28.3%로 현재와 유사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드론 분야와 로봇 분야는 각 20%p씩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응답 협회들은 산업계의 인력 확보 애로사항으로 ‘실무에 적합한 기술인력 부족(40.7%)’, ‘석박사 등 전문 인력 부족(33.3%)’, ‘예산지원, 규제완화 등 정

부 지원 부족(11.1%)’ 등을 꼽았다. 응답자들은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분야의 인력 경쟁력도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4개국에 비해낮은 것으로 봤다.

한국의 인력 경쟁력 수준을 100이라 가정했을 때 응답자 평균이 미국 123.3, 독일 114.4, 일본 107.8, 중국 106.7이었다.

기술 분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9개 분야 중 신재생에너지를 제외한 8개 분야에서 1위(공동 1위 포함)를 차지했다. 독일은 4개(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컴퓨팅기술), 중국은 3개(블록체인,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일본은 2개(블록체인, 첨단소재) 분야에서 1위였다.

한국은 한 분야에서도 1위에 오르지 못했고 인공지능 등 6개 분야에서 최하위였다.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등 3개 분야에서는 중국을 앞섰다.

응답 협회들은 국내 4차 산업혁명 분야 인력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전공 개설 확대와 능력 있는 교수진 유치 등 교육인프라 확충(29.6%)’, ‘기술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 인력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 확대(22.2%)’ 등을 꼽았다.

한국경제연구원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의 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경쟁력의 핵심 요소는 인적 자본인 만큼 교육 인프라 확충 등 인재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