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 신용점수제로 대출 문턱 낮춘다…“250만명 혜택”

10등급에서 1천점 만점으로 개편…내년부터 모든 금융권 적용

내년부터 개인신용평가 제도가 등급제(1등급~10등급)에서 점수제(1점~1천점)로 개편된다. 은행·보험·여전 등 모든 금융권에 적용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용평가 점수제 전환 관련 점검 회의를 하고 업종별 준비 현황을 점검했다.

회의에는 은행연합회,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은행, 금융권 협회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금융당국은 신용평가 점수제 전환을 위한 법령 개정을 끝내고 내년 1월 1일부터 점수제를 모든 업종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신용위험평가 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5대 은행이 신용점수제를 시범 도입하고 있다.

현행 신용등급제 체제는 대출 심사시 불리한 고객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신용등급 ‘7등급 상위’와 ‘6등급 하위’는 신용점수가 큰 차이가 없지만, 등급이 대출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경계로 작용한다. 7등급 상위 고객의 신용도는 6등급 하위와 비슷한 수준인데 대출 심사에서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는 것이다.

신용점수제를 도입하면 이런 ‘문턱 효과’를 해결할 수 있다. 금융위는 등급제 체제에서 불이익을 받는 금융소비자 약 250만명이 신용점수제를 적용하면 연 1%p 수준의 금리 절감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당국은 하위법령이 개정되도록 11개 금융 관련 법령 개정을 진행하고 있다. 법령 개정을 완료하고, 4분기 중 금융사 CSS(개인신용평가시스템), 가이드라인, 내규, 표준약관 등을 개인신용평점 기준으로 바꿀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신용점수에 토대로 세분된 심사를 할 수 있게 돼 금융사별로 유연한 여신 승인·기한 연장, 금리 결정 기준 적용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