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잇따른 아파트 거래 규제에 경기지역 오피스텔 매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바탕으로 올해 오피스텔 거래 시장을 분석한 결과 올해 1∼5월 전국의 오피스텔 매매는 1만5천76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매매 실거래가 공개된 2006년 이래 1∼5월 평균 거래량(1만4천155건)보다 11.4%, 작년 동기(1만2천10건)보다 31.3% 증가한 수치다.
특히 경기도의 오피스텔 매매량은 3천907건으로, 지난해보다 49.2% 급증했다.
수원 영통구는 272건의 거래가 진행되며 2006년 이후 거래된 동기간 평균보다 3배 가까이 거래됐다. 아파트 가격이 오르자 인근 오피스텔까지 매수세가 형성되면서 광교 등지에서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이천시와 의정부시는 각각 55건, 165건의 거래가 이어지며 거래량이 예년 평균보다 각각 4배,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와 함께 전국적으로 3억원 이하 오피스텔 매매는 1만3천637건으로, 전체의 86.5%를 차지했다. 오피스텔은 대표적인 수익형 상품으로 1∼2인 가구 전·월세 임차 수요를 겨냥한 임대수익 목적이 크고 소형 면적으로 재고가 형성돼 있다 보니 3억원 이하에서 거래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2000년대에는 3억 이하 매매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인 거래시장을 형성했다면 최근에는 3억∼6억원의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올해 1∼5월 거래된 오피스텔 가운데서도 전용면적 40∼60㎡가 2천672건(16.9%), 60∼85㎡가 2천919건(18.5%)에 이르렀다.
직방 관계자는 오피스텔 거래가 급증한 데 대해 “저금리로 시중에 자금이 넘쳐나는 환경 속에서 아파트보다 규제가 상대적으로 덜하고 진입장벽이 낮은 오피스텔을 대체 상품으로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