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럿 피해 주는 사모펀드 사고…“내부통제 절실”

라임 이어 옵티머스자산운용까지 환매 중단 사태
영세 운용사, 인력 및 자금 부족, 내부통제 어려워

라임, 옵티머스자산운용 등 사모펀드 운용사에서 사고가 잇달아 터지면서 자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금융권에서 나오고 있다.

23일 복수의 금융권 관계자들은 옵티머스자산운용 환매중단 사태에 대해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스스로 변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옵티머스는 서류 조작 등 불법적인 행태를 저질렀다”라면서 “이들 운용사가 내부적으로 불법행위를 저지르면 수탁사나 판매사는 알 수가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런데 금융사고가 터지면 비판의 대상이 운용사보다 판매사·수탁사 같은 대형 금융사로 쏠린다”라면서 “사고는 사모운용사가 치고, 욕은 판매사와 수탁사가 먹는 모습이 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관계자는 “자꾸 이런 사고가 터지다보니 사모펀드 운용사에 대해 ‘사기꾼’이란 인식이 생기게 된다”라면서 “사람도 시스템도 바뀌고 자정능력이 있어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판매사는 운용사와 투자자를 이어주는 역할을 할 뿐, 규정상 운용사를 대상으로 실사를 할 수 없다”라면서 “우리로서는 운용사에 개입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금융당국의 검사와 함께 사모펀드 운용사의 내부통제, 자정능력에 기대야 한다”라고 말했다.

옵티머스자산운용은 인력난과 자금난 등으로 내부통제가 어려워 사고를 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회사의 펀드 규모는 약 5천억원, 인원은 12명으로 대형사와 비교해 작은 편이다.

대형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대형사에서 그런 불법 행위가 벌어지기는 어렵다”라면서 “운용역을 감시하는 시스템 및 내부통제가 촘촘하다. 누군가 언제나 매니저의 일을 지켜보고 있어 불법 행위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소형 사모펀드 운용사들은 인력, 자금, 노하우 등이 부족해 내부통제가 이뤄지기 쉽지 않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다른 자산운용 관계자는 “사모펀드의 진입 장벽이 낮아지면서 자금이 적은 운용사도 많이 생긴 것 같다”라면서 “공모에서 이런 일은 없고, 공모·사모 모두 운용하는 회사에서도 있기 힘든 일이다”라고 설명했다.

협회 차원에서 이들 운용사에 대해 자정 능력을 강제하기는 어렵다. 자산운용사, 증권사 등을 회원으로 둔 금융투자협회는 회원사를 대상으로 자율규제로 실시하지만 회원사가 자율규제를 어겨도 사실상 징계하지 못한다. 제재는 금융감독원에서 한다. 금감원은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의 옵티머스자산운용 사무실을 검사했고, 향후 검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옵티머스자산운용은 공공기업 채권으로 투자금을 운용한 것처럼 서류를 조작하고 부실 자산에 투자한 혐의를 받고 있다. 금투협 자료를 보면 지난 4월말 기준 옵티머스자산운용의 펀드 설정잔액은 5천564억원 가량이다. NH투자증권의 판매잔액이 4천778억원으로 가장 많고 한국투자증권 577억원, 케이프투자증권 146억원, 대신증권 45억 원, 한화투자증권 19억원 순이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