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개선 기대감 및 글로벌 추가 정책 구체화 상승요인 작용
“펀더멘탈 확인되지 않은 유동성 장세에는 한계 존재”
증권사들이 6월 2주차(8일~12일) 주간 전망과 추천종목을 내놨다. 지난 5일 코스피 지수는 2월 20일(종가 2,195.50) 이후 3개월 반 만에 2,180선을 돌파했다. 몇몇 증권사들은 코스피지수가 2,170이나 2,190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NH투자증권은 6월 2주 코스피지수를 2,100~2,190P로 내다봤다. 노동길 연구원은 “경기 개선 기대감과 글로벌 추가 정책 구체화가 상승요인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하락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노 연구원은 한일 마찰 가능성에 대해 “우리 정부는 일본을 WTO에 제소하기로 했는데 WTO 상급 위원회가 제 기능을 못 하고 있어 실효성을 띤 조치라기보다 일본에 대화를 촉구한 의도로 보인다”라고 해석했다. 이어 “한일 마찰은 지난해 주식시장에 민감한 재료로 작용했으나 주가지수 및 수출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학습효과는 주식시장 영향력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케이프투자증권은 코스피지수를 2,100~2,170P로 전망했다. 케이프투자증권 리서치본부는 “경기 회복 기대감 확대와 증시 내 유동성 유입이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미중 갈등 심화 가능성과 단기 주가 상승 부담 확대가 하락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라고 분석했다.
리서치본부는 “펀더멘탈이 확인되지 않은 유동성 장세에는 한계가 존재한다”라면서 “2017년 코스닥 시장 활성화 대책이 나오자 코스닥지수는 2018년 초 900pt를 상회했고 이후 정책 모멘텀이 소진되고 실적이 확인되면서 지수는 급격한 조정을 겪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펀더멘탈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센티멘트와 유동성만으로 상승하는 시장은 일정 기간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6월 2주 금융시장 주요 이벤트로 조지 플로이드 추도식 및 장례식(8~9일), 미국 FOMC(9~10일), 코스피200·코스닥150 정기변경(11일)을 꼽았다.
하나금융투자는 주간추천종목으로 금호석유, 코스맥스, 로보티즈 등 3종목을 추천했다.
금호석유에 대해 하나금융투자는 “NB Latex, SBR, BPA/페놀 모두 마진 반등에 성공한 반면 주가는 저평가됐고 주력 제품의 글로벌 신증설 부담이 적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라고 분석했다.
코스맥스에 대해서는 “중국 내 높은 인지도와 기술장벽, 중국 로컬 브랜드 MS 확대가 고무적이며 중국 소비 수요 회복세와 지역 확대 따른 신규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라고 판단했다.
하나금융투자는 로보티즈에 관해 “2016년 이후 로봇시장 유통·서비스 부문에서 가파른 성장세 보이며 비대면 시대가 해당 분야의 자동화 로봇 투자 증가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SK증권은 주간 추천종목으로 KH바텍, 원익 QnC 등을 추천했다. KH바텍은 폴더블 폰 내 Hinge 부품 공급으로 반전의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0년, 2021년 출하량은 400만대와 1,600만대 예상하며 시장 내 침투율은 2021년 기준으로 1%에 불과하다.
SK증권은 “Hinge는 폴더블 폰 내 핵심 부품으로, 접는 횟수에 따라 대당 탑재량도 비례해서 증가한다”라면서 “갤럭시 폴드와 Z-플립을 통해 고객사 내 확고한 지위를 입증했으며 메인 공급자로서 지위를 유지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원익 QnC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웨이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쿼츠웨어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1분기 주요 고객사인 Lam Research·TEL·삼성전자향 쿼츠 물량 증가가 매출액 증가를 견인했다.
SK증권은 “주요 고객사의 가동률 증가 및 투자 확대로 쿼츠 부문 실적 호조세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1분기 실적부진의 주 요인이었던 모멘티브도 2분기부터는 빠르게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