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지난해 16조 원 투자…양적성장 지속

206개 신설, 해산 65개, 회수액 11조 7천억 원 등 사상 최대 기록

▲ sdfsdfsfdsdfsdf

지난해 국내 PEF 시장은 신규 설립 PEF 수 등에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신설 PEF 수는 사상 최대인 총 206개로 전년(198개) 대비 8개 증가했다. 또, 연중 투자액은 16조 원, 회수액은 11조 7천억 원, 해산 PEF 수는 65개로 모두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양적성장을 보였다.

금감원은 “성장은 신규 GP진입과 PEF 설립이 증가하고 PEF산업 선순환(자금모집→투자→기업가치제고→매각) 구조의 정착에 기인한다”라면서 “다만, 금융업력이 부족한 신규 GP의 증가, 소형 프로젝트 PEF의 높은 비중 및 투자집행의 국내 편중 등 일부 쏠림현상이 발생했다”라고 설명했다.

PEF(Private Equity Fund)는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로 경영권 참여, 사업구조·지배구조 개선 등을 위해 지분증권 등에 투자·운용한다. 약정액은 투자자가 PEF에 출자하기로 약정한 금액이고, 이행액은 투자자가 PEF에 실제 출자한 금액을 말한다.

신규 자금모집액(신설 PEF의 약정액)은 15조 6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8천억 원 감소했다. PEF 소형화 추세로 신설 PEF의 평균 약정액이 감소하며 신설 PEF 수 증가에도 신규 자금모집액은 소폭 준 것이다.

PEF의 업무집행사원(GP)은 304사로 50사가 증가했고 이 중 42사가 전업 GP다. 비금융 일반법인의 GP 진입이 증가하며 전업 GP(210개) 비중(69.1%)의 증가세가 지속했다.

신설 PEF 중 프로젝트 PEF는 151개(73.3%)로 블라인드 PEF(55개, 26.7%)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신규 GP의 경우 투자건을 발굴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금을 유치해 프로젝트 PEF를 결성하기 때문이다. 신설 소형 PEF의 비중은 78.6%로 소폭 증가하며 PEF의 소형화 추세는 지속했다. 신규 GP 대부분이 투자자 모집에 부담이 없는 소규모 PEF를 주로 운용하는 데서 비롯했다.

지난해 PEF들은 국내외 500사를 대상으로 16조 원을 투자했다. 직전 3년평균 투자집행 규모(11조 7천억 원)를 크게 웃돌았다. 전년(13조 9천억 원) 대비 2조 1천억 원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는 등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실례로는 KDB인베스트먼트가 대우건설에, JKL파트너스 등이 롯데손해보험에, 인마크PE가 서울미라마(그랜드하얏트서울 지배회사)에 투자했다.

투자대상기업(500개) 중 국내기업(421개) 비중은 84.2%로 국내기업 투자 편중도가 높았다. 투자금액 기준으로는 국내 12조 8천억 원, 해외 3조 2천억 원을 투자했다. PEF를 통한 추가 투자여력 지표인 미집행 약정액은 22조 6천억 원으로 전년말(18조 8천억 원) 대비 증가했다. 약정액 대비 미집행액비율은 26.8%로 전년(25.2%) 대비 증가했으나, 프로젝트 PEF 비중 증가에 따라 비율은 최근 5년간 하락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투자회수액은 11조 7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2조 7천억 원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MBK 파트너스가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대성산업가스에서, 스톤브릿지캐피탈 등이 SK인천석유화학에서, 한앤컴퍼니가 쌍용양회공업에서 회수를 실시했다.

해산 PEF 수는 65개로 전년(58개) 대비 7개 증가했다. 해산 PEF의 실제존속기간은 평균 2.9년이었으며 투자집행까지 이르지 못하고 1년 이내 해산한 PEF는 3개였다.

지난해 PEF는 총 721개로 사모펀드 제도개편이 있었던 2015년(316개) 대비 2.3배 성장했다. 약정액은 84조 3천억 원으로 2015년(58조 5천억 원) 대비 1.4배 증가했고, 이행액은 61조 7천억 원으로 2015년(38조 4천억 원) 대비 1.6배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침체 등으로 저평가된 우량기업을 취득할 수 있을 시기가 PEF의 최적투자시점인 것을 고려하면 미집행 약정액 등 투자여력이 충분한 PEF에게는 오히려 투자기회가 조성되어 하반기 이후 투자집행이 증가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또, 금감원은 지속해서 늘어나는 전업 GP·일반투자자 LP 위주의 PEF를 중심으로 맞춤형 점검과 감독을 강화할 예정이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